고래 지갑 4만 5,000BTC 매수…비트코인, 새 상승 국면 돌입하나

2025-11-01(토) 05:11
비트코인(BTC)

▲ 비트코인(BTC)  

 

비트코인(Bitcoin, BTC)이 11만 5,000달러 선을 회복하며 최근 발생한 강제 레버리지 청산 이후 기관 매수세와 고래 자금 유입이 재점화되고, 새로운 가격 발견 국면이 다시 시작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10월 3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FX스트리트에 따르면, 온체인 지표에서 현·선물 누적 거래량 델타(CVD)가 안정세를 보이며 매도 압력이 둔화됐고, 지난 10월 10일 급락 이후 1만~10만BTC 보유 지갑이 총 4만 5,000BTC 이상을 추가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러(VALR) 최고경영자 파르잠 에사니(Farzam Ehsani)는 최근 반등이 과거 투기성 랠리와 달리 현물 중심 매수와 제한적 숏 커버링에 기반한 기술적 반등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11만 달러에서 11만 5,000달러 구간을 돌파한 배경으로 차분한 누적 매수세와 안정된 미결제 약정 유지, 중립적 자금조달비율을 언급하며 과열 없는 회복 국면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 완화 기대와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전망이 위험자산 선호를 강화하며 글로벌 증시와 금 가격도 동반 상승한 상황에서, 비트코인의 상대적 초과 성과가 유동성 민감 고베타(macrosensitive high-beta) 자산으로서 존재감을 다시 입증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슨트(Scott Bessent)가 무역협상 진전 언급으로 시장 신뢰를 회복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시장 전망 측면에서 에사니는 비트코인 단기 저항을 11만 6,000~11만 7,000달러로 제시했고, 매크로 환경 개선이 지속되면 12만 6,000~13만 달러까지 상승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ETF 순유입 부재와 개인 투자자 복귀 지연이 빠른 반전 위험을 남겨두고 있으며, 심리가 악화될 경우 10만 달러 지지선 재확인 가능성도 언급됐다.

 

한편 시장은 최근 레버리지 과잉 제거, 대규모 보유층 매도 중단, 유동성 여건 개선 등을 근거로 중기적 상승장을 기대하는 분위기지만, 미국-베네수엘라 관계 불안과 중동 긴장 고조 변수는 경계 요인으로 남아 있다. 현재 11만 5,000달러 회복은 조정 이후 복원력을 보여준 흐름으로 평가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23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