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 네트워크(PI)/챗gpt 생성 이미지 |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 PI)가 연례 파이2데이(Pi2Day) 2025에서 도입한 새로운 스테이킹 기능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기존 암호화폐 스테이킹과 달리 보상이 전혀 없다는 점 때문에 혼란과 실망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7월 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파이 네트워크는 파이 앱 스튜디오(Pi App Studio)와 생태계 디렉토리 스테이킹(Ecosystem Directory Staking) 두 가지 주요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파이 앱 스튜디오는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도구로 환영받고 있지만, 생태계 디렉토리 스테이킹 기능은 참가자들에게 수익이 전혀 없다는 이유로 사용자 기반에서 혼란과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새로운 스테이킹 메커니즘은 사용자들이 메인넷 블록체인에서 파이 코인을 스테이킹하여 파이 생태계 내 선택된 앱들의 순위를 높이는 자발적 시스템이다. 이는 기존 암호화폐 스테이킹 모델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일반적인 스테이킹에서는 참가자들이 네트워크 운영 지원에 대한 대가로 추가 암호화폐 보상을 받는다. 한 사용자는 “선구자들이여! 신규 스테이킹 기능에 대한 오해가 있다. 앱 순위를 위한 스테이킹으로는 파이 보상을 받지 못한다!”라고 게시했다.
파이 네트워크 코어팀의 명확하지 않은 소통이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많은 사용자들은 무보상 측면이 발표 당시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어느 한 사용자는 “파이 블로그에 파이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이 없다는 점을 명확히 밝히는 새로운 단락이 추가되었다. 만약 이 점이 처음부터 여러 번 강조되었다면 많은 사람들이 더 쉽게 이해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테이킹이 프로토콜 수준에서 파이 보상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개발자 측에서 인센티브 제공 조항은 있다. 개발자들은 앱 개선, 인앱 보상, 프로모션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팀은 스테이킹 기간이 끝나면 사용자들이 원래 스테이킹한 금액을 그대로 돌려받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한 사용자는 “파이 코인 200개를 60일간 스테이킹하면 60일 후 정확히 파이 코인 200개를 돌려받는다. 보너스도, 이자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실망에도 불구하고 일부 파이오니어들은 새로운 스테이킹 메커니즘이 네트워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시스템은 의미 있는 참여를 장려하고 사용자들이 재정적으로 지원할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앱들을 우선시한다. 또한 파이의 전체 순환 공급량을 줄여 가용성과 가격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