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반복될까? 역사적 패턴이 가리키는 비트코인 랠리

2025-06-18(수) 08:06
비트코인(BTC)

▲ 비트코인(BTC)     ©

 

6월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BTC)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발표를 앞두고 103,300달러까지 하락하며 단기 조정을 겪었다. 그러나 역사적 패턴에 따르면 이번 조정 이후 최대 25% 반등이 뒤따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트코인 분석 플랫폼 비트코인 벡터(Bitcoin Vector)는 이번 하락이 단순한 거시경제 이슈뿐 아니라 온체인 성장 둔화, 계절적 약세, 과도한 레버리지 청산으로 인한 구조적 조정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하루 만에 4억 3,400만 달러 규모의 BTC 선물 포지션이 청산됐으며, 미드텀 보유자(6~12개월)가 하루 만에 9억 400만 달러의 수익 실현에 나서며 매도세를 주도했다.

 

반면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6월 들어 꾸준히 양의 값을 유지하고 있어 미국 내 현물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다는 점도 부각된다. 장기 보유자(LTH) 역시 대규모 매도에 나서지 않고 있어 중장기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평가다. Glassnode와 Axel Adler Jr.에 따르면, 현 시점은 공황성 매도보다는 선택적 수익 실현이 중심이다.

 

기술적으로도 BTC는 10만 2,000~10만 4,000달러 구간에서 반등 가능성이 높다. 볼린저 밴드는 압축 상태에 접어들며 변동성 확대를 예고하고 있고, 중간 밴드인 10만 6,000달러는 단기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수준을 상회해 종가가 마감되면 11만 2,000달러대까지의 상승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알프랙탈(Alphractal)은 9만 8,300달러 구간이 단기 보유자 손익분기점이며, 이 지점이 무너지지 않는 한 시장은 여전히 강세 구간에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9만 8,000달러가 붕괴될 경우, 구조적 하락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도 경고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23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