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국내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그 도입 방식을 둘러싼 업계의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현물 ETF 출시에 앞서 선물 ETF를 먼저 상장해 시장의 충격을 줄이는 ‘완충 장치’로 삼아야 한다는 ‘선물 선행론’과, 이미 규제 기반이 마련된 만큼 불필요한 절차 없이 바로 가야 한다는 ‘현물 직행론’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이다. 어떤 방식이 채택되느냐에 따라 국내 […]

[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국내 도입이 본격화하면서, 그 도입 방식을 둘러싼 업계의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현물 ETF 출시에 앞서 선물 ETF를 먼저 상장해 시장의 충격을 줄이는 ‘완충 장치’로 삼아야 한다는 ‘선물 선행론’과, 이미 규제 기반이 마련된 만큼 불필요한 절차 없이 바로 가야 한다는 ‘현물 직행론’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양상이다. 어떤 방식이 채택되느냐에 따라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