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ICO 참여 고래, $970만 ETH 매도
이더리움 ICO 참여 고래가 지난 한 시간 동안 4,000 ETH(970만 달러)를 매도했다고 룩온체인이 밝혔다. 해당 고래는 과거 이더리움 제네시스 블록 당시 10만 ETH(2.43억 달러)를 매수했다.
파이 네트워크, 7주 침묵 깨고 폭등 신호…1달러 돌파 기대 고조
▲ 파이 네트워크(PI)/챗gpt 생성 이미지7주간의 조정 국면을 마친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 PI)가 강한 반등세를 보이며 단기적으로 1달러 돌파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6월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파이 네트워크는 이날 하루에만 16% 급등하며 0.62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지난 7주간 이어진 하락 쐐기형 패턴에서 강하게 돌파한 결과로, 해당 패턴은 일반적으로 하락세의 종료와 상승 반전 가능성을 시사한다. 최근 3일간 파이 코인은 0.47달러에서 시작해 0.62달러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특히 이번 돌파는 4시간봉 기준으로 저항선을 완전히 상회하며 강한 상승 의지를 보여줬다. 이로써 매도세가 완전히 소진됐고, 현재는 매수세가 가격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기술적으로는 하락 쐐기형 돌파 외에도 ‘라운딩 바텀(둥근 바닥)’ 패턴이 4시간봉에서 완성돼 상승 신호를 강화하고 있다. 이 패턴 역시 넥라인을 강하게 돌파했으며, 이로 인해 PI 가격은 약 28%의 추가 상승 여지를 확보한 상태다. 두 패턴의 목표가 모두 0.78달러에 수렴한다는 점에서 향후 흐름에 대한 확신을 높이고 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현재 81로 나타나 상승 모멘텀이 뚜렷하지만,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고 있어 단기 조정 가능성에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지표들은 상승 추세 전환을 확정지은 상태로 평가된다. PI의 다음 관전 포인트는 1달러 돌파 여부다. 매수세가 유지되고 단기 차익실현 매물이 제한된다면, 30% 추가 상승과 함께 심리적 저항선인 1달러를 돌파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모카재단, 레이어1 모카체인 출시 예정
블록체인 개발사 모카재단이 레이어1 블록체인 모카체인을 출시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모카체인은 신원, 데이터 인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올해 3분기 테스트넷이 출시된다. 메인넷 출시는 4분기 예정돼 있다.
에이셔, 펜들과 파트너십 체결
탈중앙화 클라우드 GPU 네트워크 에이셔(ATH)가 디파이 수익률 프로토콜 펜들(PENDLE)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트너십을 통해 에이셔는 자체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eATH를 펜들 생태계에 통합한다. 사용자는 eATH를 스테이킹해 SY-eATH를 받을 수 있다.
XRP, 2.18달러에 갇혔다…거래량 45% ↓
▲ 엑스알피(XRP)/챗gpt 생성 이미지 엑스알피(XRP)가 주말 급락으로 2달러 아래로 잠시 하락한 뒤 이번 주 초 빠르게 반등하며 단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6월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XRP는 일요일 1.90달러까지 하락한 뒤 지지선을 확보하고 월요일 한때 10% 급등했다. 이후 화요일 2.20달러에 도달하며 단기 저항에 부딪혔고, 현재는 약간 하락한 2.18달러에서 횡보 중이다. 최근 24시간 기준으로는 0.6% 하락했다. 그러나 거래량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XRP의 일일 거래량은 45.22% 감소해 27억 9,000만 달러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매수세와 매도세 모두가 확신을 잃고 관망세로 전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술적으로는 중립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일일 상대강도지수(RSI)는 중간값에 머무르며 시장의 방향성 결정을 기다리는 모습이다. 주요 지표들은 다음 촉매에 따라 상승 또는 하락으로 방향을 잡을 준비를 하고 있다. 상승 전환의 핵심 구간은 2.20달러이며, 이 구간을 돌파할 경우 2.26달러(일일 단순이동평균선 50), 2.37달러(일일 단순이동평균선 200), 그리고 심리적 저항선인 2.50달러와 2.65달러가 다음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0달러 아래로 다시 밀릴 경우 1.75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한편 리플은 엑스알피 레저(XRPL) 버전 2.5.0을 출시하며 네트워크에 중요한 기술적 개선을 도입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배치 트랜잭션, 토큰 에스크로 IOU, MPT 지원 등이 포함돼 있어 XRP 생태계의 활용성과 확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프로캡BTC, 1208 BTC 추매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폼프 인베스트먼트 설립자 앤서니 폼플리아노가 세운 프로캡BTC(ProCapBTC)가 평단가 105,977 달러에 1,208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글로브뉴스와이어가 보도했다. 회사는 총 4,932 BTC를 보유 중이다. 프로캡BTC는 자금 조달을 통해 최대 10억 달러 규모의 BTC를 매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해킹 피해’ zk렌드, 운영 중단 결정
스타크넷(STRK) 기반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zk렌드(ZEND)가 운영 중단을 결정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zk렌드는 “해킹으로 사용자 신뢰가 심각하게 훼손됐고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되면서 유동성도 제한된 상황이다. 현재 보유 중인 자금(20만달러)을 운영비보다는 피해자 배상에 투입하는 게 책임 있는 행동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zk렌드는 익스플로잇(취약점 노출)로 1000만달러 피해를 입은 바 있다.
포스코인터, 말레이시아 해상광구 추가 탐사·개발 추진(종합)
포스코인터, 말레이시아 해상광구 추가 탐사·개발 추진(종합)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말레이시아 해상에서 석유·가스전 탐사·개발을 추가로 추진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 가스회사인 페트로나스와 말레이반도 동부 사바 해안 인근의 라양라양 분지에 대한 기술평가계약(TEA)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TEA는 특정 지역의 자원 개발을 위한 타당성 평가를 위한 일종의 탐사 계약이다. 평가 결과 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으로 광구 탐사·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앞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021년 페트로나스와 말레이반도 동부 천해 PM524 광구 생산물 분배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지분은 80%다. 이 계약에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4년의 탐사 기간과 24년의 개발·생산 기간을 보장받아 현재 페트로나스와 PM524 탐사 광구에서 유망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지난달 첫 시추에 다선 PM524광구에 대해서는 상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본격적인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며 “라양라양 분지에 대한 탐사도 절차에 따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70,000,000 USDT 이체… HTX → Aave
웨일 얼럿에 따르면, HTX 주소에서 Aave 주소로 270,000,000 USDT가 이체됐다. 2.7억 달러 규모다.
블런츠 "비트코인·이더리움·도그위햇, 조정 마치고 상승 진입 준비 중"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비트코인(Bitcoin, BTC)이 주말 급락 이후 새로운 사상 최고가를 향해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6월 25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바이비트(Bybit)에서 ‘마스터 트레이더’ 등급을 보유한 익명의 분석가 블런츠(Bluntz)는 비트코인이 ABC 조정을 마무리 지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엘리엇 파동 이론에 기반해 이번 조정이 상승 랠리의 전조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블런츠는 “비트코인이 하락 채널 하단에서 반등했고, 기존의 이탈 구간을 회복했다”며 “지금부터는 사상 최고가까지 보낼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현재 가격은 조정 구간 이후 안정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더리움(Ethereum, ETH)에 대해서도 블런츠는 긍정적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대비 가격인 ETH/BTC에서 마찬가지로 ABC 조정을 마쳤으며, 저점을 찍었다고 판단했다. 보도 시점 기준 ETH/BTC는 0.02308 비트코인, 즉 2,451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한편 솔라나(Solana, SOL) 기반 밈코인 도그위햇(Dogwifhat, WIF)도 강세 전환 가능성이 제기됐다. 블런츠는 도그위햇이 ABC 조정을 마친 뒤 다섯 개 파동으로 구성된 상승 추세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 상승 추세는 엘리엇 파동 이론에서 주요 강세 흐름으로 간주된다. 그는 “아직 가격 움직임이 확인돼야 하지만, 도그위햇은 사상 최고가를 향한 새로운 상승이 이미 시작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세 종목 모두 기술적 조정이 마무리됐다는 공통점에서 강세 재진입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