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랩스, MEET48에 투자

외신에 따르면 이지랩스(YZi labs)가 인공지능(AI) 및 웹3 통합 소셜 메타버스 프로젝트 MEET48에 투자를 집행했다고 밝혔다. 단,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美 국방장관 "이란 핵 능력, 완전히 파괴됐다"

월터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국방장관 피트 헤그세스가 “이란의 핵 능력은 완전히 파괴됐다”고 말했다. 앞서 이란 헌법위원회는 국제 원자력 기구(IAEA)와의 협력 중단을 승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스테이블코인으로 급여 수령’…레인, 신규 서비스 출시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플랫폼 레인(Rain)이 규제 준수 암호화폐 리워드 솔루션 기업 토쿠(Toku)와 스테이블코인 급여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100여국 이상의 근로법, 세금 규정을 준수하며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급여 지급과 정산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솔루션 출시 시점에서는 USDC, RLUSD, USDG 등을 지원하며 추후 지원하는 스테이블코인은 확대될 예정이다.

바이낸스, SAHARA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6월 26일 21시(한국시간) SAHARA/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75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브라질 중앙은행, 기업 보유 암호화폐 회계 규칙 재정비 방침

브라질 중앙은행이 기업 보유 암호화폐의 회계 규칙을 재정비 할 예정이라고 비트코인닷컴이 전했다. 규칙에 포함되는 대상은 기업이 발행하거나 보유 중인 암호화폐다. 또 스테이킹이나 에어드롭을 통해 얻은 암호화폐도 대상이다. 브라질 중앙은행은 오는 8월 24일(현지시간) 공개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스웨덴 상장사 비트코인 트레저리 캐피털, 66 BTC 매입

스웨덴 상장사 비트코인 트레저리 캐피털(Bitcoin Treasury Capital)이 66 BTC를 매입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발표했다. 매입 평단가는 105,270 달러이며 총 6,600만 크로나(700만 달러)가 투입됐다. 비트코인 트레저리 캐피털은 이번 매입을 시작으로 장기적으로 BTC를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더리움, 골든크로스 앞두고 주저앉나…단기 매도세 변수

▲ 이더리움(ETH)      이더리움이 월간 최저점에서 반등하며 단기 보유자들의 차익 실현 매도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지만, 기술적 강세 신호인 골든 크로스 형성 가능성이 매도 압력으로 인해 불투명해졌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이더리움(Ethereum, ETH) 네트워크의 활성 예치금이 지난 24시간 동안 5개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단기 보유자들이 최근 가격 상승 흐름에 따라 수익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반면 코인 데이즈 디스트로이드(CDD) 지표에서는 특별한 변화가 관측되지 않아 장기 보유자들은 여전히 보유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더리움은 현재 골든 크로스 형성 직전 상황에 있다. 골든 크로스는 일반적으로 강세 신호로 여겨지는 기술적 지표로, 지난 4개월간 지속된 데스 크로스의 종료를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매도 활동이 이러한 기술적 돌파를 지연시키거나 무산시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이번 주 들어 11% 상승하며 2,47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이 2,476달러 저항선을 지지선으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한다면 최근 상승세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공적인 돌파 시 2,606달러를 향한 추가 상승이 가능하며, 이후 2,681달러까지 상승할 경우 약세 전망을 무효화할 수 있다. 반대로 단기 보유자들의 예치금 증가가 실제 매도로 이어진다면 이더리움은 하락 압력에 직면할 수 있다.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2,344달러 또는 더 낮은 2,205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현재의 상승세가 반전될 위험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현재 시장 전문가들은 이더리움의 향후 움직임이 단기 보유자들의 매도 압력과 기술적 지표 간의 균형에 달려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5개월 최고치를 기록한 활성 예치금 지표가 실제 매도 물량으로 전환되는지 여부가 골든 크로스 형성과 추가 상승세 지속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300달러로 시작해 27,000달러까지? 지금 주목해야 할 밈코인 3가지

 일부 투자자들은 여전히 밈코인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지만, 현재의 시장 흐름에서 그와 같은 태도는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통적인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정체되고 반복적인 서사에 머무는 가운데, 밈코인은 다시 한 번 높은 수익률을 이끌어내는 핵심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밈코인은 시장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강력한 커뮤니티 기반 위에서 성장하고, 예기치 못한 상승 흐름을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소액 투자자에게도 진입 장벽이 낮은 점은 또 다른 강점이다. 예를 들어, 300달러 수준의 초기 투자만으로도 시장 고점 이전에 의미 있는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 중 하나인 LILPEPE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밈코인 생태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지금이 바로 차세대 밈코인을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LILPEPE, 레이어2 밈코인의 새 질서를 제시하다LILPEPE는 단순한 개구리 캐릭터를 활용한 유머 코인을 넘어, EVM 기반의 레이어2 프로토콜 위에 구축된 고성능 밈코인 프로젝트다. ‘Little Pepe Chain’을 바탕으로 높은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밈코인과 실용 기술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프리세일 지표로 입증된 투자 열기현재 진행 중인 3단계 프리세일에서는 토큰당 $0.0012에 판매되고 있으며, 목표 모금액 $2,525,000 중 $1,711,819 이상이 유치되었다. 이는 전체 2,250,000,000개 중 약 70%인 1,572,348,842개의 토큰이 이미 판매된 수치로, 빠른 속도로 매진에 가까워지고 있다. 3단계가 완료되면 토큰 가격은 $0.0013으로 상향 조정되며, 상장가는 $0.003로 설정되어 있다. 현재가 기준으로 상장 시 약 150%의 즉시 수익률이 가능하다.  -1단계(토큰당 $0.0010) 투자자는 이미 20%의 수익을 기록 중-현재가($0.0012) 투자자는 상장 시 기준 150% 수익 예상 일부 분석가들은 2025년 말까지 최대 $0.28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며, 이는 약 233배에 해당하는 잠재 수익률이다 2단계는 단 이틀 만에 매진되었고, 현재 3단계 역시 72시간 내 70% 이상이 소진되며 빠른 속도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커뮤니티 인센티브 및 기술 기반의 차별화LILPEPE는 커뮤니티 성장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총 77만 달러 규모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추첨을 통해 10명의 당첨자에게 각각 $77,000 상당의 LILPEPE 토큰이 지급될 예정이다. 일반적인 밈코인에서 보기 어려운 파격적인 리워드 구조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LILPEPE는 단순한 가격 상승 기대감을 넘어, 자체 레이어2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실사용 가능성과 확장성을 모두 갖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커뮤니티 중심의 밈 문화와 실용적인 온체인 기반이 결합되며, 차세대 DOGE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시바이누(SHIB)시바이누(SHIB)는 최근 조용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는 약세 신호로 보기 어렵다.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탄탄한 커뮤니티 기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토큰 소각, SHIB: The Metaverse 개발, 그리고 자체 디파이 생태계인 Shibarium 확장 등 실질적인 생태계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현재 SHIB는 약 $0.0000114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시장 전문가들은 2025년 중후반까지 $0.00006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는 현 시점에서 약 5배에 달하는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투자 관점에서 보면, 현재 가격 기준으로 $100를 투자할 경우 약 8.7백만 개의 SHIB를 확보할 수 있다. 이후 SHIB 가격이 $0.00006까지 상승하면 약 $522의 수익이 예상되며, 시장이 강세장으로 진입해 목표가의 절반 수준인 $0.001에 도달할 경우, 해당 투자금은 $8,700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과거에도 SHIB는 유사한 급등을 경험한 바 있으며, 시장이 조정 이후 반등 국면에 접어들 때 빠르고 강한 회복세를 보이는 대표적인 밈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SHIB는 단순한 유행성 토큰을 넘어, 메타버스, 디파이,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결합한 실용적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장기적인 생존력과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봉크(BONK)봉크(BONK)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솔라나(Solana) 생태계 내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구축한 대표적인 토큰이다. 조용히 등장한 여타 밈코인들과 달리, BONK는 출시 당시 솔라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에어드롭을 실시하며 주목받았고, 이는 당시 침체돼 있던 솔라나 커뮤니티에 강력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현재 BONK는 솔라나의 고속·저비용 구조를 기반으로 디파이(DeFi), NFT, 스테이킹 전반에 깊숙이 통합돼 있다. Orca, BonkStake, OpenBook 등 주요 dApp에서 실사용이 가능하며, 토큰 소각(Burn) 메커니즘을 통해 장기적인 공급량 감소 구조도 함께 갖추고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토큰 희소성과 가치를 동시에 제고하는 전략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BONK는 약 $0.000022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2025년까지 $0.00005 이상으로의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이는 현 시점에서 약 두 배에 달하는 수익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금 $100를 투자하면 약 450만 개의 BONK를 확보할 수 있으며, 목표 가격에 도달할 경우 투자 수익은 $200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가격 상승 이상의 의미가 있다. BONK는 솔라나 생태계 내 밈 문화의 정수를 대표하는 토큰으로, 플랫폼 자체가 확장되며 함께 주목받고 있다. 커뮤니티 중심의 유통 구조와 활발한 사용자 기반은 BONK의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론암호화폐 시장은 기다려주지 않는다. LILPEPE의 프리세일은 빠르게 소진되고 있으며, SHIB는 다음 상승을 준비 중이고, BONK는 생태계 내 입지를 다지며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시장은 관망하는 이가 아닌, 과감히 움직이는 투자자에게 보상한다. 단 300달러로도 이번 사이클에서 의미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 LILPEPE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새로운 생태계의 기초를 설계 중이며, 77만 달러 규모의 커뮤니티 보상 프로그램 또한 진행하고 있다. 이른 시점의 참여가 곧 잠재적 수익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이 가장 결정적인 시점이다.  -Website: https://littlepepe.com-Whitepaper: https://littlepepe.com/whitepaper.pdf-Telegram: https://t.me/littlepepetoken-Twitter/X: https://x.com/littlepepetoken   *본 기사는 업체에서 제공한 보도자료 입니다.  

비트 디지털 "비트코인 채굴 접고 이더리움으로 전환" 파격 선언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나스닥에 상장된 암호화폐 채굴 기업 비트 디지털(Bit Digital, BTBT)이 비트코인(Bitcoin, BTC) 채굴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이더리움(Ethereum, ETH) 스테이킹 및 자산 운용 중심 기업으로 전환한다. 채굴 중심 모델에서 탈피해 수익성과 자산 효율성을 추구하는 전략적 변화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비트 디지털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점진적으로 이더리움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미 2022년부터 이더리움 스테이킹 인프라를 운영해왔다. 2025년 3월 31일 기준, 회사는 2만 4,434.2 ETH(약 4,460만 달러), 417.6 BTC(약 3,450만 달러)를 보유 중이었다. 회사는 비트코인 채굴 장비 매각 또는 폐쇄도 검토 중이며, 해당 자산에서 확보한 자금 또한 이더리움 매입에 재투자할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비트 디지털은 별도 공시를 통해 신주 발행을 진행 중이며, 조달 자금 역시 이더리움 투자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공모 규모나 조건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전환의 배경에는 비트코인 채굴의 수익성 악화가 있다. 스트래티지(Strategy)의 찰스 앨런(Charles Allen) 최고경영자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은 고비용·저수익 구조로, 장비 감가상각과 에너지 소비에 지속적인 부담을 주는 반면,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낮은 비용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현실이 다르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비트코인 1개 채굴 비용은 2024년 4분기 5만 2,000달러에서 2025년 1분기 6만 4,000달러로 23% 상승했고, 2분기에는 7만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굴 난이도는 126.98조, 평균 해시레이트는 913.54 EH/s까지 증가했지만, 수수료 수익은 6월 기준 블록 보상의 1% 이하에 불과하다. 비트 디지털의 이번 결정은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구글파이낸스에 따르면, 종가 기준 3.69% 하락했고, 시간외 거래에서는 3.83% 추가 하락했다. 해당 주식은 지난 1년간 총 29.4% 하락하며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