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CME 선물 거래량 역대 최고치 기록…기관 자금 다시 몰리나
▲ 솔라나(SOL) 솔라나(Solana, SOL)가 145달러를 회복하며 반등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솔라나 선물 거래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는 CME에서 솔라나 선물 거래량이 최근 24시간 기준 175만 계약에 도달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자산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거래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CME는 규제된 거래소로, 주요 기관 투자자들의 거래 채널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이번 거래량 급증은 솔라나에 대한 전략적 포지셔닝 가능성을 보여준다. 글래스노드는 “이번 거래량 증가는 가격이 145달러를 회복한 국면에서 발생했으며, 기관이 상승 흐름에 편승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선물 거래량만으로는 매수와 매도 중 어느 쪽의 포지션이 우세한지를 단정할 수는 없으며, 현재로서는 단지 거래 활동이 대규모로 증가했다는 점만 확인된 상태다. 이와 별개로, 분석 플랫폼 샌티먼트(Santiment)는 최근 솔라나 생태계 내 프로젝트들의 개발 활동 순위를 공개했다. 지난 30일 기준 가장 활발한 개발 활동을 보인 프로젝트는 솔라나 자체였으며, 점수는 100.93으로 집계됐다. 이어 웜홀(Wormhole, W)이 37.77, 피스 네트워크(Pyth Network, PYTH)가 30.67로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한편, 해당 개발 활동 지표는 깃허브(GitHub) 상에서의 커밋, 풀 리퀘스트, 포크 등 주요 개발 이벤트를 기반으로 측정되며, 생태계의 기술적 성숙도와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활용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XRP, 거래소 49억 개 유출설…알고 보니 데이터 ‘오류’
▲ XRP/챗gpt 생성 이미지 엑스알피(XRP) 보유량이 주요 거래소에서 대규모로 빠져나갔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실제 온체인 데이터 분석 결과 이는 분석 플랫폼의 기술적 오류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 제기된 공급 쇼크 우려는 과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시장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최근 일주일간 바이낸스(Binance)에서 6억 1,700만 개, 업비트에서 49억 8,900만 개의 엑스알피가 인출됐다는 데이터를 공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총 120억 달러에 달하는 엑스알피 유출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더크립토베이직이 확인한 온체인 조사 결과, 실제 해당 거래소 지갑에서 그 정도 규모의 자금 이동은 포착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데이터 오류 가능성이 제기됐고, 현재 크립토퀀트는 관련 지표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크립토퀀트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고, 해당 건에 대한 질의에도 응답하지 않은 상태다. 수정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바이낸스의 엑스알피 보유량은 현재 약 28억 개 수준이며, 실제 인출된 물량은 6월 18일 이후 약 3,500만 개에 불과하다. 또한 업비트의 엑스알피 보유량은 60억 8,000만 개로, 과거 발표된 10억 8,000만 개보다 6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업비트는 오히려 최근 엑스알피 유입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일부 거래소에서는 실제 보유량 감소가 확인된다. 바이비트(Bybit)의 경우 6월 15일 기준 3억 2,675만 개에서 현재 2억 3,050만 개로 약 9,600만 개 감소했다. 비트파이넥스(Bitfinex)도 같은 기간 동안 411만 개가 빠져나가 현재는 5,855만 개를 보유 중이다. 다만 해당 수치도 데이터 오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추가 검증이 요구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XRP, 2.25달러 돌파냐 붕괴냐…추세의 끝자락 왔나?
▲ 리플(XRP), 달러(USD)/챗gpt 생성 이미지 엑스알피(XRP)가 지난 48시간 동안 기술적 전환점에 도달하며 상승세 지속 여부를 가를 중대한 시점에 진입했다. 현재 가격은 2.18달러 선에서 수렴 중이며, 강한 상승 추세선을 지지로 삼아 단기 추세 전환 여부를 시험받고 있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뉴스BTC에 따르면, 독립 분석가 카시(Casi)는 최근 15분봉 차트를 통해 XRP 가격이 6월 23일 저점인 1.9824달러에서 0.618 되돌림 구간을 바탕으로 강력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 상승 흐름을 지지해온 추세선은 1.618 확장 레벨인 2.186달러의 수평 지지선과 교차하며 기술적 삼각 수렴의 정점을 형성하고 있다. 카시는 “현재 이 추세선이 모든 것을 결정짓는다”고 강조하며, 최근 조정이 0.382 되돌림 구간인 2.145달러에서 지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구간은 단기 마이크로 박스의 하단을 구성하는 핵심 지지선이다. 카시는 해당 지지선이 유지되는 한 시장 구조는 여전히 상승 쪽으로 기울어 있다고 설명했다. 상단 저항으로는 2.20달러와 2.25달러가 주요 레벨로 작용하고 있다. 2.25달러는 지난 미국 세션 동안 수차례 저항으로 작용한 자리이면서 이전 하락파동의 1.272 확장 구간으로, 추세 전환의 분수령으로 평가받고 있다. 상승 모멘텀을 평가하는 상대강도지수(RSI)는 현재 46.24로 중립권에 머물러 있으며,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한 상태다. 카시는 가격이 고점을 갱신하더라도 RSI가 낮은 고점을 형성할 경우 전형적인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XRP는 유의미한 가격 확장을 위한 마지막 준비 구간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동성이 얇아지는 주말로 접어들며, 거래량과 RSI 방향성이 일치하는 시점이 추세 결정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트레이더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에이프코인 DAO 해체안 통과
에이프코인(APE) DAO를 해체하고 새 법인 ApeCo를 출범하는 내용의 커뮤니티 제안이 찬성률 99.66%로 통과됐다. 앞서 유가랩스 설립자 그렉 솔라노는 DAO가 비생산적인 거버넌스 연극을 하는 곳으로 전락했다며 이러한 제안을 상정한 바 있다. 제안에 따르면 에이프코인 DAO의 자산은 ApeCo로 이관되며 토큰 홀더는 거버넌스 권리를 더 이상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코인베이스, 7월 미국서 BTC, ETH 무기한 선물 출시
코인베이스가 미국에서 무기한 선물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7월 21일(현지시간) 출시되는 BTC, ETH 무기한 선물은 계약당 0.01 BTC, 0.1 ETH 단위로 거래된다.
‘TAO 투자’ 시냅토제닉스, 타오 시너지스로 리브랜딩
암호화폐 재무 전략 일환으로 TAO를 매수했던 나스닥 상장사 시냅토제닉스(Synaptogenix)가 타오 시너지스로 사명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티커는 TAOX다. 앞서 회사는 1000만 달러를 TAO에 투자한다고 전한 바 있다.
비트코인, M2 따라 진짜 28만 달러로?…유동성 흐름 살펴보니
▲ 비트코인(BTC) 비트코인(Bitcoin, BTC)이 최근 10만 8,000달러를 회복하며 시장 지배력을 4년 반 만에 최고치로 끌어올린 가운데, 글로벌 M2 통화 공급량과의 상관관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일부 분석가는 이 지표가 여전히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글로벌 매크로 인베스터(Global Macro Investor)의 매크로 리서치 총괄 줄리앙 비텔(Julien Bittel)은 “가장 많이 복사된 비트코인 차트”라 불리는 M2 선행 지표 차트를 공유하며, 비트코인이 아직 M2 유동성 증가 흐름을 충분히 따라잡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해당 지표는 글로벌 M2의 12주 선행 수치를 기반으로 비트코인 가격 흐름과의 연동성을 보여준다. M2는 현금, 예금, 머니마켓펀드 등 즉시 유동화 가능한 자산을 포함한 광의 통화 지표로, 시장 내 투자 여력을 가늠하는 주요 척도다. M2가 증가하면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살아나는 경향이 있으며, 비트코인과도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여왔다. 2023년 이후 두 지표는 일부 시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방향성을 유지해왔다. 현재 글로벌 M2 유동성은 94조 3,000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된다. 최근 일부 국가의 양적 완화 및 통화 확대 정책으로 인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며, 비텔은 “두 지표가 꼭 완벽히 동기화될 필요는 없지만, 비트코인의 중장기 상승 가능성은 유효하다”고 언급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상승 사이클 동안 비트코인이 기존 최고가인 11만 2,0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는 기대가 제기되고 있다. 명확한 목표가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전 분석에서는 17만 5,000달러, 20만 달러, 최대 25만 달러까지의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 제로헤지(ZeroHedge)도 동일한 상관관계를 지적하며, 현재 가격에서 추가 상승 여지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글로벌 M2 통화 공급량과의 상관관계를 비판했다. 분석가 시나(Sina)는 트위터를 통해 “지나치게 보정된 차트와 데이터 해석의 오류가 섞여 있다”며, 일부 분석가들이 실제와 다른 과도한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그는 비트코인이 올해 28만 5,000달러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비트와이즈, DOGE·APT 현물 ETF 증권신고서 수정본 제출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가 도지코인(DOGE), 앱토스(APT) 현물 ETF 증권신고서(S-1) 수정본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고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전했다. 수정본에는 현물 환매 내용이 추가됐다.
유펙시, 솔라나서 자사주 토큰화 추진
나스닥에 상장된 전자상거래 업체 유펙시(Upexi)가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자사 주식을 토큰화할 계획이라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토큰화 주식은 24시간 거래 가능하고 실시간 결제를 지원한다. 암호화폐 월렛에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유펙시는 SOL에 전략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재 735,692 SOL(1.05억달러)을 보유 중이다.
도지코인, 다시 불장 온다…누적 신호에 214% 수익 시나리오 기대 고조
▲ 도지코인(DOGE) 도지코인(Dogecoin, DOGE)이 최근 가격 조정을 마친 뒤 상승 반등에 성공하며, 기술적 관점에서 강한 매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와이코프(Wyckoff) 이론에 기반한 누적 단계 진입 조짐과 함께, 일부 분석가들은 강세 전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6월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도지코인은 6월 20일부터 23일까지 하락세를 보이며 0.145달러 근방까지 내려갔으나, 이후 V자형 반등을 보이며 0.162~0.167달러 사이에서 안정적인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트레이딩뷰 분석가 Setupsfx는 도지코인이 현재 누적 단계(accumulation phase)에 들어섰다고 진단하며, 매수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Setupsfx가 제시한 차트에는 복수의 캐릭터 변화(CHOCH) 신호가 포착되었고, 이는 초기 매수 세력 유입을 뜻한다. 이와 함께 공정 가치 갭(Fair Value Gap)과 불균형(Imbalance) 영역이 확인되며, 상승 모멘텀 증가 시 도달 가능성이 높은 목표 영역으로 제시됐다. 과거 사례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었다. 2024년 3월 도지코인이 0.2286달러까지 급등한 이후 형성된 하락 추세선은 수차례 상승을 저지했으며, 12월 초에는 장기 누적 구간 돌파 후 0.48달러까지 급등했다. 이후 2025년 1월 고점 0.435달러를 기록한 뒤 다시 조정에 들어간 도지코인은 4월 저점 0.128달러를 형성한 후 새로운 누적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격 0.1653달러 기준으로 Setupsfx는 스윙 트레이딩 관점에서 최대 214.6% 수익률이 가능한 반등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이 경우 도지코인은 연중 최고치인 0.52달러를 목표로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상승 전환 확정 신호가 아직 부재한 만큼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온체인 데이터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인투더블록(IntoTheBlock)에 따르면, 최근 7일간 신규 주소는 102.40%, 활성 주소는 111.32% 증가했으며, 잔액 0의 재활성화 주소도 155.45% 늘어나며 네트워크 전반의 활동성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