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6월 차이신 제조업PMI 반등…관세전쟁 휴전 후 확장 국면
中 6월 차이신 제조업PMI 반등…관세전쟁 휴전 후 확장 국면 전문가 전망치 웃돈 50.4…”제조업 수요와 공급 전반적 회복”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휴전에 들어간 지난달 중국 제조업 업황이 회복했다는 민간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중국 금융정보 제공업체 차이신(財新)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6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4를 기록해 전월(48.3)보다 상승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전문가들의 전망치 평균인 49.3보다 높으며 기준선(50)을 넘어선 것이다. 기업 구매 담당자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 통계는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차이신 제조업 PMI는 미중 관세전쟁 여파로 5월에는 기준선 아래로 내려가 8개월 만에 경기 수축 국면으로 추락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확장 국면으로 돌아섰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전날 발표한 6월 제조업 PMI도 49.7로 기준선(50)은 밑돌았지만, 전월(49.5)보다 0.2포인트 상승해 회복세를 보였다. 왕저 차이신 이코노미스트는 “전반적으로 제조업 수요와 공급이 6월에 회복됐다”라며 “그러나 외부 환경은 여전히 복잡하고 심각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내수 부문도 유효수요 부족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유엑스링크 "유엑스링크 원 메인넷 구축 중"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다음 목표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대중화를 위한 유엑스링크 원 메인넷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AI 성장 에이전트, 암호화폐와 기존 금융 시스템을 연결하는 페이파이(PayFi) 통합 솔루션도 내놓을 계획이다. 그 외에 일본, 한국 사업 확장 및 미국으로의 진출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솔라나, ETF 호재에도 상승세 지지부진…숨겨진 하락 압력 발견
▲ 솔라나(SOL) 솔라나(Solana, SOL) 최초의 스테이킹 기반 상장지수펀드(ETF)가 출범했지만, 기관 수요는 기대에 못 미치며 가격은 제한된 반등에 그치고 있다. 6월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REX 쉐어스(REX Shares)와 오스프리 펀드(Osprey Funds)는 협력해 법인세 과세가 가능한 C-코퍼레이션 구조로 솔라나 ETF를 출시했다. 이번 ETF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일반적인 승인 절차를 우회하면서 신속하게 출시됐고, 스테이킹 수익까지 포함된 구조다. 그러나 배당 수익에 대해 법인과 투자자 모두 과세되는 점에서 기존 비트코인(Bitcoin, BTC) 및 이더리움(Ethereum, ETH) ETF와는 차이가 있다. SOL 가격은 ETF 출시 소식에 161달러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157달러로 조정되며 24시간 기준 4% 상승에 그쳤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번 구조가 다른 알트코인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기대감을 낮췄다. 실제로 2년 넘게 운영 중인 그레이스케일 솔라나 트러스트(GSOL)의 운용자산은 약 7,500만 달러로, 이더리움 ETF 출범 직전 100억 달러를 운용했던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트러스트(ETHE)와 큰 차이를 보인다. 지속적인 스테이킹 해제 물량과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매도 압력이 솔라나 가격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향후 2개월간 약 5억 8,500만 달러 규모의 솔라나 토큰이 스테이킹에서 해제될 예정이며, 펌프(Pump) 등 인기 디앱은 2025년 들어 4억 400만 달러가 넘는 솔라나 토큰을 거래소로 이체했다. 솔라나는 지난 4일간 12.5% 반등했지만, 선물 시장의 연 환산 펀딩비는 여전히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시장 내 레버리지 강세 매수세가 부족하다는 신호다. 현재 가격 157달러는 사상 최고가 295달러 대비 여전히 47% 낮은 수준이며, 온체인 데이터상 네트워크 활동도 반등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솔라나의 경쟁력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로빈후드는 최근 이더리움 레이어2 기반에서 토큰화 주식 거래를 시작했으며, 코인베이스는 베이스 네트워크를 활용한 온체인 결제를 쇼피파이와 함께 출범시켰다. 이처럼 고성능 DApp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솔라나의 매력도도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패러다임캐피털·아비트럼 초기 투자자, $585만 ARB 거래소 입금
암호화폐 투자사 패러다임 캐피털 및 아비트럼(ARB) 초기 투자자가 12시간 내 1,675만 ARB(585만 달러)를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에 입금했다고 더데이터너드가 전했다.
5월 이후 60일 정체…이더리움, 상승장 열리면 알트코인 시즌 이끈다
▲ 이더리움(ETH) 이더리움(Ethereum, ETH)의 기술적 흐름이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강세장을 촉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주요 이동평균선이 수렴하고 있는 차트 구조는 방향성 돌파가 임박했음을 시사하며, 이더리움의 움직임이 전체 시장에 결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애널리스트 댄 감바데요(Dan Gambardello)는 6월 30일(현지시간) 자신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전문 유튜브 채널 크립토 캐피털 벤처(Crypto Capital Venture)에 업로드한 영상을 통해 이더리움 차트의 기술적 압축 상황을 강조했다. 그는 “이더리움의 일간 이동평균선들이 5월 이후 좁은 박스권에서 수렴하고 있다”며, 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강한 돌파가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구조로 언급했다. 감바데요는 “알트코인 시장은 아직 본격적인 랠리를 시작하지 않았지만, 이더리움이 이 흐름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이더리움의 주간 차트를 통해 중장기 상승 흐름이 유효하다고 평가하며, 단기적인 조정 구간이 오히려 다음 상승 사이클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2위의 암호화폐로서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라며, “이더리움 차트에 나타난 기술적 패턴은 단기적으로 알트코인 전반의 강세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감바데요는 “5월 이후 이더리움은 주요 저항선과 지지선 사이에서 정체돼 있지만, 이동평균선들이 좁혀지며 돌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주간 기준에서 저점을 높여가는 구조는 강한 반등을 예고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전망은 알트코인 투자자들에게는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비트코인(Bitcoin, BTC)이 사상 최고가 근처에서 횡보하는 사이, 이더리움이 본격적인 상승 흐름을 보인다면, 이를 신호로 삼아 알트코인 시장 전반의 반등이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아크인베스트, $4380만 코인베이스 주식 매도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인베스트먼트(ARK Invest)가 30일(현지시간) 산하 ARKK, ARKW, ARKF 펀드를 통해 4,380만 달러 상당 코인베이스 주식을 매도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코인베이스 주가는 6월 한 달간 42.12% 상승했다.
라이온 그룹, $500만 HYPE·SOL·SUI 매수
하이퍼리퀴드(HYPE) 재무 전략을 도입한 미국 나스닥 상장 투자 및 금융 서비스 기업 라이온 그룹 홀딩스(Lion Group Holdings)가 총 500만달러 상당 HYPE, SOL, SUI를 매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이 회사는 79,775 HYPE, 6,629 SOL, 356,129 SUI를 보유 중이다. 앞서 라이온 그룹은 HYPE 재무 전략 도입을 위해 6억 달러를 조달했으며 HYPE 외에 SOL, SUI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고래 매도 vs ETF 유입…이더리움, 25% 폭락 or 100% 급등?
▲ 이더리움(ETH) 이더리움(Ethereum, ETH)이 ‘Power of 3(축적-조작-분배)’ 패턴을 따라 5,000달러를 넘는 급등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고래 매도와 공매도 증가로 최대 25% 하락 가능성도 제기돼 시장의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 6월 3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최근 2,100~2,200달러대에서의 일시적인 하락을 거쳐 반등에 성공하며 ‘Power of 3’ 패턴의 분배 단계에 진입했다. 이 패턴은 기관투자자의 유동성 활용 전략을 기반으로 하며, 5월 9일부터 6월 20일까지의 조용한 횡보 구간(축적), 이후 급락을 유도한 조작 구간을 거쳐 현재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분배 단계로 이어지고 있다. 이더리움의 반등은 실제 자금 유입으로도 확인된다. 글래스노드(Glassnode)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주 현물 기반 이더리움 ETF에는 10만 6,000 ETH의 순유입이 발생했으며, 이는 7주 연속 순유입 기록이다. 비트마인의 신임 대표 토머스 리(Thomas Lee)는 이 흐름을 2016~2017년 이더리움 랠리와 유사하다고 분석하며, 현재가 ‘가장 예측 못한 상승 랠리’의 초입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낙관론과 동시에 강력한 하락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장기 대칭 삼각형 하단을 이탈한 상태이며, 일부 분석가는 이로 인해 1,600달러까지 약 25%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한 고래 지갑이 최근 5일간 6만 2,000 ETH 이상을 바이낸스에 입금한 것으로 나타나 매도 압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 데이터도 매도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뉴욕 장중 이더리움 가격이 하락하는 동안에도 미결제 약정은 증가했고, 단기 펀딩비는 음수로 전환됐다. 동시에 현물 거래량이 감소해 단기 하락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핵심 하방 지지선은 2,350달러와 2,275달러 사이로 분석된다. 이처럼 이더리움은 5,000달러 돌파를 노리는 기술적 급등 시나리오와 동시에, 대규모 매물 출회에 따른 하락 리스크가 공존하는 ‘양면장’에 진입한 상황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트럼프가 열고 서클이 폭발했다…올해 상반기, 암호화폐가 전통 금융을 이겼다
▲ 코인베이스, 서클, 로빈후드 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산업은 대체로 상승 흐름 속에 전통 금융 시장을 앞서는 성과를 거두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6월 30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올해 초 투자자들은 미국 대통령의 친(親) 암호화폐 행보와 비트코인 전략 비축 구상에 기대를 걸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영부인 멜라니아를 테마로 한 밈코인 출시가 일시적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이후 폴 앳킨스(Paul Atkins)가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 임명되고, 암호화폐 정책 전담관이 신설되면서 비트코인(Bitcoin, BTC) 가격은 11만 2,000달러에 근접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4월 2일 ‘해방의 날’ 관세 발표로 단기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났고, 비트코인은 현재 10만 7,608달러 선에서 거래 중이다. 그럼에도 올해 들어 비트코인 수익률은 14%를 기록하며 S&P 500의 5% 상승률을 앞질렀고,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 중 비트코인의 비중은 64%까지 확대됐다. 동시에 코인베이스(Coinbase)와 로빈후드(Robinhood) 등 주요 거래소 기업의 주가도 폭등했다. 코인베이스는 올해 들어 40% 넘게 상승하며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로빈후드는 130% 급등해 미국 개인 투자자의 암호화폐 거래 점유율 중 약 30%를 차지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로빈후드는 규제 역풍을 이겨내며 시장 선점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스테이블코인 기업 서클(Circle)도 상반기 중 대형 IPO에 성공하며 주목받았다. 6월 5일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지니어스(GENIUS)를 통과시키면서 서클 주가는 공모가 대비 최대 500% 급등했다. 해당 법안은 발행자의 월간 공시와 연간 감사 의무를 부여하며, 메타(Meta)와 아마존(AMZN) 같은 빅테크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성도 열어뒀다. 시장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은 서클 주가에 과도한 낙관론이 반영됐다고 경고한다.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고, 이는 서클의 수익 구조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코인메트릭스의 애널리스트 타네이 베드(Tanay Ved)는 “서클의 장기 수익성은 USDC 공급 확대와 규제 하의 점유율 유지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트럼프 감세법에 또 거칠어지는 머스크…낙선 협박에 창당 거론
트럼프 감세법에 또 거칠어지는 머스크…낙선 협박에 창당 거론 “법안 통과시킬 거면 목 매달라…나 없이 경선 안될 것” 협박 “미국은 ‘단일정당’ 국가…법안 통과시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 창당”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입이 다시 거칠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중점 법안을 향해 연일 수위 높은 비난을 쏟아내고, 법안에 관여한 의원들에게도 협박성 발언을 서슴지 않고 있다. 머스크는 30일(현지시간)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선거 기간엔 정부 지출을 줄이라고 말해놓고 이제 갑자기 사상 최대폭의 재정 적자 증가에 찬성하는 모든 의원은 부끄러움에 목을 매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머스크는 “그 모두는 내년 경선에서 패배할 것이다. 내가 살아 생전 그들을 도울 생각이 없다면”이라고 말했다. 공화당 의원 일부는 직접 거명했다. 머스크는 공화당 강경보수파 모임인 하원 프리덤코커스의 앤디 해리스(메릴랜드), 칩 로이(텍사스) 의원을 향해 “역사상 재정적자를 가장 크게 늘려 ‘빚의 노예’로 만드는 법안에 찬성한다면 어떻게 스스로를 프리덤코커스로 부르겠는가”라고 따졌다. 머스크는 작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지원하며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입증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선후보와 기타 공화당 정치인들의 선거운동 지원에 2억7천500만 달러(약 3천700억원)를 지출했다. 머스크는 앞서 5월 인터뷰에서 “할 만큼 했다”며 정치 후원을 줄이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이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후보를 강력하게 지원하는 방식 등으로 다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머스크는 신당 창당론으로 그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엑스 게시글에서 “법안대로 정신 나간 듯이 지출을 늘렸다가는 분명히 우리가 사는 이 나라, ‘돼지 같은 거대 단일정당’ 국가의 재정 적자가 역대급, 5조 달러(약 7천조원) 규모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신 나간 지출법안이 통과하면 그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이 창당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민주-공화당 단일정당의 대안이 필요하다. 그래야 국민이 실질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6월 초에도 이 법안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격렬한 언쟁을 벌일 때도 중도층을 위한 신당 창당론을 꺼내든 바 있다. 당시 엑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창당 관련 설문에서는 “80%의 중도층을 실제로 대변하는 미국의 신당을 창당할 시점인가”라는 문항에 563만 명이 응답했고, 그 가운데 80.4%가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엑스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접속 가능하고 한 사람이 여러 계정으로 응답할 가능성도 적지 않아 이 결과를 실제 미국 내 여론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머스크가 비난하는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을 포괄적으로 담은 법안으로, 명칭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다. 현재 법안대로면 2025∼2034년에 미국의 재정 적자가 3조3천억달러(약 4천500조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추산했다. 하원을 통과 버전보다 예상 적자 규모가 1조 달러 정도 증가했다. 특히 법안에는 전기차 보조금을 삭감하고 풍력·태양광 에너지 발전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는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사업 영역과 직결된 분야다. 머스크는 지난달 초 이 법안을 비판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격렬한 말다툼을 벌인 데 이어 최근에도 법안에 대해 “완전히 미쳤고 파괴적이다”, “정치적 자살” 등의 극언으로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