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 2020년과 똑같다…이번 목표는 ‘4.50달러’

▲ 도지코인(DOGE) 도지코인(Dogecoin, DOGE)이 2020년 강세장을 이끌었던 기술적 신호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폭발적 상승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평균 방향성 지수(ADX)가 다시 한 번 핵심 지점에 도달하면서, 시장에서는 2,500% 이상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6월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분석가 트레이더 타디그레이드(Trader Tardigrade)는 도지코인의 주간 ADX 지표가 2020년 대규모 상승 직전에 나타났던 구조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해당 구조는 중간 수준의 두 정점을 지나 ADX가 급락하며 저점을 형성하는 흐름으로, 당시 도지코인은 0.01달러 미만에서 0.70달러 이상까지 치솟은 바 있다. 현재 도지코인 가격은 0.1708달러로, 여전히 좁은 하락 채널 내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주요 지지선인 0.17달러는 유지되고 있다. 타디그레이드는 주간 캔들 차트상 ADX가 다시 저점을 형성하며 상승 전환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가격 압축 국면이 끝나고 강한 방향성 전환이 임박했음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분석가가 공유한 차트에는 2020년 ADX 저점에서 급등이 시작된 지점과 2024년 현재 ADX 저점이 평행선으로 연결돼 있다. 그는 과거와 유사한 가격 추세가 이어진다면 도지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돌파해 4.50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상승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현재 가격 대비 약 2,540%에 달하는 상승 여력이 있는 셈이다. 다만, 그는 과거 사례가 미래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지표상의 반복은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시사점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적 패턴과 시장 심리가 일치하면서 도지코인은 또 한 번의 메이저 랠리를 준비 중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 저항선 돌파 여부와 향후 몇 주간의 흐름이 추세 전환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이란 중앙은행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 시간 제한"

이란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노비텍스(Nobitex)가 해킹 피해를 입은 가운데, 이란 중앙은행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의 운영 시간을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은 “노비텍스와 같은 해킹 리스크를 줄이고 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자오창펑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털 유언장 기능 도입해야"

바이낸스 설립자 자오창펑이 “암호화폐 거래소 사용자가 사망할 경우 자산을 분배할 수 있는 유언장 기능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는 “사람들이 꺼리는 주제이지만,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없다. 모든 플랫폼은 유언장 기능을 갖춰야 하며, 사망 시 지정된 계정에 특정 비율로 자산이 분배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바이낸스가 지난 12일 업데이트를 통해 비상 연락처 및 상속 기능을 도입한 직후 나왔다. 해당 기능은 사용자가 사망할 경우를 대비해 상속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활동이 없을 경우 비상 연락처에 알림이 전송되고, 이후 상속 청구 절차가 개시된다.

바이낸스 알파 BRIC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BRIC을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 대상 토큰은 초기 프로젝트 중 커뮤니티, 시장 트렌드 등을 반영해 선정된다. 추후 상장이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리플, RLUSD 1,000만개 발행…리플, 스테이블코인 시장 지각변동 일으킬까?

▲ 엑스알피(XRP), 달러(USD)  리플(Ripple)이 RLUSD 트레저리에서 스테이블코인 RLUSD 1,000만 개를 새롭게 발행하며,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흐름과 맞물린 대규모 확장 전략에 시동을 걸었다. 이번 발행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지니어스(GENIUS)와 관련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이뤄져 더욱 주목받고 있다. 6월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RLUSD의 발행은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와 결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다시 급증하는 시점과 일치한다. 금융 분석가 앤드루(Andrew)는 해당 법안이 “향후 6~24개월 내 은행 구조를 바꿀 것”이라며 규제 변화가 암호화폐 업계에 가져올 구조적 전환을 강조했다. 존 디튼(John E. Deaton)은 RLUSD, USDC, UST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의 수요가 이 법안 통과를 계기로 폭발할 수 있다고 전망했으며,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시가총액이 향후 5년간 5~10배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 헤지펀드 임원이었던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시장 규모가 2~3조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확장은 이미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USDC 발행사 서클(Circle)은 최근 기업가치가 50억~90억 달러에서 평가됐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400억 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에 힘입어 최근 IPO에 나선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급등하고 있다. 리플 생태계도 동반 상승 중이다. 글래스노드(Glassnode)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엑스알피(XRP) 보유자 중 78.8%가 수익 상태에 있으며, 이는 투자자 신뢰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XRP 가격은 현재 2.20달러 이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RLUSD 채택 확대에 따라 XRP 렛저 기반 플랫폼의 활동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함께 크라켄(Kraken), 제미니(Gemini), 리플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이 상장을 준비하고 있어 시장 확산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RLUSD 발행과 함께 이뤄지는 입법 변화, 기업 가치 상승, 시장 수요 확대는 향후 암호화폐 산업의 대규모 재편을 예고하는 신호로 평가된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금융위, 하반기 가상자산 ETF 도입방안 마련…스테이블코인 규율

금융위, 하반기 가상자산 ETF 도입방안 마련…스테이블코인 규율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상장사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 의무화   정부가 청년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하반기에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방안을 마련하고, 스테이블 코인 등 규율체계를 완비한다.  증시에서 상장사에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가 의무화되며,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큰 부실기업은 하반기 상장폐지기준 강화를 통해 신속하게 퇴출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 국정기획위원회에 새 정부 공약 이행계획과 관련 이같이 업무보고를 했다.   금융위는 금융·가상자산 시장 연계에 따른 리스크와 실물 경제 영향, 투자자 편익 등을 감안해 하반기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방안을 마련한다.  도입 근거를 마련하고, 설정·수탁·운용·평가 등 관련 인프라와 투자자 보호장치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정책 공약집에서 비트코인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현물 ETF 발행, 상장, 거래 등을 허용하겠다고 약속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는 지난해 1월 미국에서 허용됐고, 이후 기관 자금 유입 통로로 기능하면서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배경이 됐다.  금융위는 글로벌 정합성 확보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스테이블 코인 관련 규율 마련을 골자로 한 가상자산 상장·공시, 사업자 영업행위, 불공정행위 조사·처벌 관련 2단계 입법도 추진한다. 비교공시 등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의 자율적 수수료 인하도 유도할 계획이다.  공약에 제시된 청년 미래 적금은 기존 청년 자산 형성 상품인 청년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도약계좌 등을 고려해 관계부처와 논의를 거쳐 도입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금융투자상품 거래나 금융회사 임원 선임 제한을 통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조치는 이미 4월에 도입됐다.  또 혐의 계좌 지급정지나 최대 부당이득액의 2배에 달하는 과징금 적극 부과로 부당이득을 환수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과징금을 신속히 부과하기 위해서는 검찰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검찰 협의시나 검찰 수사 종료 시, 증선위 고발·통보 1년 경과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금융위는 미공개 정보 이용을 예방하기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상장회사의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를 의무화한다.  또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큰 부실기업은 하반기 중 시가총액이나 매출액, 외부감사 등 상장 폐지기준 강화를 통해 신속하게 퇴출한다는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되나…기대감에 전자결제株 들썩(종합)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되나…기대감에 전자결제株 들썩(종합)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가운데 19일 핀테크·전자결제 종목들이 일제히 급등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한국정보통신[025770]은 전 거래일 대비 29.98% 오른 1만710원으로 장을 마쳐 상한가를 기록했다.  신세계 I&C[035510](26.80%),NHN[181710]N KCP[060250](9.04%), 한컴위드[054920](9.46%), 카페24[042000](5.80%), KG이니시스[035600](4.28%) 등 핀테크 업종 내 종목들이 동반 상승하는 모습이었다.  전날 미국 상원의회에서 스테이블의 발행과 담보 요건을 담은 ‘지니어스’ 법안이 통과된 데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발행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가시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로, 이들 종목은 대선 직후에도 급등한 바 있다.  이 총재는 외환 관리, 지급결제업무 주체 변화 등을 언급하며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담당 부처가 자리 잡히는 대로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정책을 가다듬을 생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익명 주소, 한 주간 $7000만 조달…펌프닷펀 연관

지난 일주일간 익명 멀티시그 월렛이 여러 기관 및 고래 주소로부터 총 7,000만 달러 상당 USDT·USDC를 조달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룩온체인은 “해당 월렛이 펌프닷펀과 연관돼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일각에서는 펌프닷펀이 플랫폼 토큰 출시를 위한 자금 조달을 진행 중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 하반기 가상자산 ETF 도입방안 마련…스테이블코인 규율

금융위, 하반기 가상자산 ETF 도입방안 마련…스테이블코인 규율 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상장사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 의무화   정부가 청년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하반기에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방안을 마련하고, 스테이블 코인 등 규율체계를 완비한다.  증시에서 상장사에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가 의무화되며,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큰 부실기업은 하반기 상장폐지기준 강화를 통해 신속하게 퇴출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 국정기획위원회에 새 정부 공약 이행계획과 관련 이같이 업무보고를 했다.   금융위는 금융·가상자산 시장 연계에 따른 리스크와 실물 경제 영향, 투자자 편익 등을 감안해 하반기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방안을 마련한다.  도입 근거를 마련하고, 설정·수탁·운용·평가 등 관련 인프라와 투자자 보호장치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정책 공약집에서 비트코인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현물 ETF 발행, 상장, 거래 등을 허용하겠다고 약속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는 지난해 1월 미국에서 허용됐고, 이후 기관 자금 유입 통로로 기능하면서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배경이 됐다.  금융위는 글로벌 정합성 확보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스테이블 코인 관련 규율 마련을 골자로 한 가상자산 상장·공시, 사업자 영업행위, 불공정행위 조사·처벌 관련 2단계 입법도 추진한다. 비교공시 등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의 자율적 수수료 인하도 유도할 계획이다.  공약에 제시된 청년 미래 적금은 기존 청년 자산 형성 상품인 청년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도약계좌 등을 고려해 관계부처와 논의를 거쳐 도입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금융투자상품 거래나 금융회사 임원 선임 제한을 통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조치는 이미 4월에 도입됐다.  또 혐의 계좌 지급정지나 최대 부당이득액의 2배에 달하는 과징금 적극 부과로 부당이득을 환수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과징금을 신속히 부과하기 위해서는 검찰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검찰 협의시나 검찰 수사 종료 시, 증선위 고발·통보 1년 경과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금융위는 미공개 정보 이용을 예방하기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상장회사의 내부자 단기매매차익 반환청구를 의무화한다.  또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큰 부실기업은 하반기 중 시가총액이나 매출액, 외부감사 등 상장 폐지기준 강화를 통해 신속하게 퇴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