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SC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네트워크 이슈에 따른 시아코인(SC) 프로젝트 측 요청으로 인해 SC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코툰] "스테이블코인, 달러 패권 강화할 것"
[코툰] “스테이블코인, 달러 패권 강화할 것”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을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더블록에 따르면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국채의 주요 매수자 중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달러 패권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中기업, 美규제 피해 말레이시아서 엔비디아 칩으로 AI훈련 의혹
中기업, 美규제 피해 말레이시아서 엔비디아 칩으로 AI훈련 의혹 “현지 데이터센터 임대해 LLM 학습”…말레이시아 당국 조사 나서 중국 기업이 말레이시아 내 데이터센터를 임대하는 수법으로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를 회피,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용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말레이시아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는 중국 기업이 자국에서 엔비디아 칩이 장착된 데이터센터 서버를 이용해 AI 거대언어모델(LLM)을 학습시켰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투자통상산업부는 성명에서 “국내 법이나 규정 위반 여부에 대해 관련 기관과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WSJ은 최근 보도에서 지난 3월 중국 AI 기업 기술자 4명이 80테라바이트(TB) 용량의 스프레드시트·이미지·영상이 담긴 하드디스크 60개를 갖고 말레이시아로 입국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의 한 데이터센터에서 고급 엔비디아 칩이 장착된 서버 300대를 임대, 이들 서버에 가져온 데이터를 입력해 AI 모델을 훈련시켰다. 결국 최근 이들은 AI 모델을 포함한 수백 기가바이트(GB) 분량의 데이터를 갖고 중국으로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행정부는 엔비디아 등의 첨단기술 반도체를 중국으로 수출하지 못하게 통제하고 있으나, 말레이시아는 수출 통제 대상이 아니다. 이에 대해 투자통상산업부는 엔비디아 반도체와 이를 사용하는 서버가 말레이시아 법률상 통제 품목은 아니지만, 민감한 상품 거래 감시와 관련해 지원을 요청하는 모든 각국 정부와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 거래나 수출 통제 회피 시도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면서 무역 관련 법을 위반하는 기업에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의혹을 계기로 향후 미 행정부가 말레이시아 상대로 반도체 관련 관리 강화 등의 압박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지 컨략컨설팅사 덴수이의 에릭 로 파트너는 이제 말레이시아가 자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가 철저하다는 점을 미국에 납득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번 일이 수출 통제 미준수나 국가안보 위협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SCMP에 말했다. 그는 “이는 말레이시아의 무역 협상을 위태롭게 하고, 미국에서 운영하거나 미국과 거래하는 말레이시아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안업체 "구글에 AAVE 검색 시 피싱 사이트 노출…주의 필요"
웹3 스캠 방지 보안 플랫폼 스캠스니퍼(Scam Sniffer)가 “현재 구글에 AAVE를 검색했을 때 피싱 사이트가 최상단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월렛을 잘못 연결해 자금이 탈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익명 고래, 바이낸스·코보에 $8,373만 BTC 입금
익명 비트코인 고래 주소(3NVex)가 30분 전 바이낸스, 싱가포르 커스터디 업체 코보(Cobo)에 총 800 BTC(8,373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관세·방위비’ 한미외교 난제…李대통령, 나토서 실마리 찾을까
‘관세·방위비’ 한미외교 난제…李대통령, 나토서 실마리 찾을까 참석에 무게 쏠린 듯…한미정상회담 재추진 주목 한미 간 관세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등 외교·통상 분야 숙제들이 쌓여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어떻게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낼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이 다음 주로 예정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한미 정상 간 회담을 추진하면서 첫 단추를 끼우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20일 이 대통령의 나토 회의 참석 여부에 대해서는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참석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로 지난 16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예정했던 한미정상회담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귀국으로 무산되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가장 빠른 다음 계기를 찾아서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나토 회의 참석이 유력한 상황인 만큼 이 기회를 흘려버릴 이유가 없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양상이다. 다만 한미 간 현안을 둘러싼 상황이 그리 녹록지는 않다. 우선 관세 협상의 정상 간 논의를 통해 양국 실무협상에서 원만하고 호혜적인 합의를 추동하겠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기본 입장이지만,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내달 8일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시간상 매우 촉박한 처지에 놓여있다. 여기에 이날은 미국 국방부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동맹국들도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국방비를 지출해야 한다는 것을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나토의 유럽 회원국들에 국방비 지출을 기존 목표치인 GDP의 ‘2%’에서 ‘5%’로 대폭 늘릴 것을 요구해 왔는데, 이 기준을 한국 등 아시아 동맹국들에도 동등하게 적용하겠다는 취지다. 일각에서는 이런 흐름이 한국을 향한 국방지출 증액 요구,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로 이어지지 않을지, 나아가 이를 연결고리로 한 주한미군 감축 문제까지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승률 100%’ 하이퍼리퀴드 롱 고래, $200만 이상 손실 중
탈중앙화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거래소 하이퍼리퀴드(HYPE)에서 지난달 승률 100%를 기록한 익명 고래(0xb8b9로 시작)가 현재 BTC, ETH, SOL, LINK에 롱 포지션을 보유하며 200만 달러 이상 손실 중이라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적용한 레버리지 비율은 10배~40배다. 룩온체인은 “해당 주소는 지난달 29건 롱 트레이딩을 진행했으며 230만 달러 상당 수익을 낸 바 있다”고 부연했다.
금융위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스테이블코인 체계 마련, 확정된 바 없다"
금융위원회가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과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 마련을 연내 추진한다는 보도에 “확정된 바 없다”며 선을 그었다고 한경닷컴이 전했다. 앞서 금융위는 국정기획위에 새 정부 가상자산 공약 이행 계획을 보고하며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과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 정비를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와이즈 CEO "비트코인, 규제보다 ‘무관심’이 더 큰 장벽"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 규제 불확실성은 이제 더 이상 장애물이 아니라고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 CEO 헌터 호슬리가 평가했다. 그는 자신의 X를 통해 “아직 시장에 온전한 효과가 반영되진 않았지만, 암호화폐 규제 명확성은 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켰다. 이제 비트코인 성장에 남은 장애물은 ‘무관심’과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보는 시각’ 두 가지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투자자의 무관심이라는 장벽에 놓여 있다. 기관 투자자와 자산 운용자 다수는 일정이 촘촘하고, 매일 다양한 투자 제안을 받는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어렵고 낯선 자산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굳이 주목해야 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아울러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는 애초에 금에 투자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금이 가장 인기 없는 자산 중 하나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비트코인-금 연계 인식은 신규 자금 유입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ETH 청산 규모: $1659만, 청산 비율: 롱 53.16%BTC 청산 규모: $975만, 청산 비율: 롱 52.85%SOL 청산 규모: $438만, 청산 비율: 롱 5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