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고래 또 움직였다…20배 레버리지로 2억 5,500만 달러 베팅

▲ 비트코인(BTC)  비트코인(Bitcoin, BTC)이 박스권 돌파를 시도하던 가운데, 정체를 깬 건 정체불명의 고래의 거대한 롱 포지션이었다. 이번 거래 이후 숏 포지션이 청산되며 시장에 단기 급등이 발생했다. 6월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1.7% 상승한 10만 6,500달러를 기록하며 직전 저항 구간을 돌파했다.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이 상승은 대규모 숏 포지션 청산을 유발했고, 일부 거래소에서는 매도 유동성이 더 높은 가격대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확인된 바에 따르면, 한 익명의 고래 주소가 2억 5,500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롱 포지션을 20배 레버리지로 개시했고, 이는 시장 방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와 유사한 패턴은 5월과 6월 초에도 여러 차례 반복된 바 있다. 이전에도 대형 레버리지 롱 포지션으로 주목을 받았던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의 제임스 윈(James Wynn)이 언급되기도 했지만, 이번 거래의 당사자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부 트레이더들은 이 움직임이 또 다른 단기적 반등을 이끌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트레이더 다안 크립토 트레이드(Daan Crypto Trades)는 “현재 위치에서 거래는 어렵지만, 상단 혹은 하단 돌파 시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10만 달러에서 11만 달러 구간이 6월의 핵심 레인지라고 말했다. 또 다른 트레이더 크립토 토니(Crypto Tony)는 주간 마감 시 10만 4,500달러 수준 유지를 강조하며, 이를 단기 상승 시나리오의 기준선으로 제시했다. 시장은 현재 고래들의 레버리지 포지션과 박스권 돌파 가능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 있다. 단기 반등이 이어질지, 아니면 유동성 소진 후 조정이 재개될지에 따라 비트코인의 다음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업홀드의 향방은 향후 XRP 시장 내 권력 이동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45억 달러 상당 XRP 보유…JP모건·페이팔, 업홀드 인수 전쟁 참여

▲ 리플(XRP), 달러(USD)/챗gpt 생성 이미지 엑스알피(XRP)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암호화폐 플랫폼 업홀드(Uphold)가 대형 기업에 인수될 가능성이 제기되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업홀드가 보유한 XRP 비중과 거래량, 생태계 중심성으로 인해 주요 거래소와 전통 금융기관들이 잠재적 인수 후보로 언급되고 있다. 6월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친리플 성향의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은 최근 업홀드가 코인베이스, 크라켄, 바이낸스, 제미니, 로빈후드, 리플(Ripple)뿐만 아니라 JP모건, 골드만삭스, 피델리티, 씨티, 페이팔 등 전통 금융사들에 의해 인수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업홀드는 현재 총 보유 자산 66억 1,000만 달러 중 약 69%인 45억 4,000만 달러 상당을 XRP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2,600만 건이 넘는 XRP 거래를 처리했으며, 최근에는 엑스알피 레저(XRPL) 기반으로 USD코인(USDC) 지원도 개시하는 등 XRP 중심 플랫폼으로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이 같은 특징 덕분에 업홀드는 이미 XRPL 생태계에서 독보적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100.6%의 준비금 비율을 유지하며 완전 담보 모델을 운영하고 있는 점도 인수 매력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CEO 사이먼 맥로플린(Simon McLoughlin)이 XRP 생태계에 강한 신념을 가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인수 협상은 높은 프리미엄 없이는 성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존 디튼의 주장은 다소 공격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현재 수치와 구조적 입지를 감안하면 비현실적인 시나리오만은 아니다. 실제로 리플은 과거 비트스탬프(Bistamp)에 소수 지분을 투자한 전력이 있으며, 이는 이후 로빈후드와의 합병으로 이어진 바 있다. XRP ETF 승인 가능성이 높아지고 기관의 인프라 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업홀드의 향방은 향후 XRP 시장 내 권력 이동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빗썸, CORE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이달 25일 12시부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분석 "암호화폐 시장 관망세 지속"

암호화폐 트레이딩 기업 QCP캐피털이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관망하는 분위기다. 비트코인은 횡보세를 이어가고 있다.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치적 발언이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다. 투자 심리는 대기 상태이며, 뚜렷한 촉매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이어 “파생상품 시장은 보다 신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BTC 및 ETH 리스크 리버설(risk reversals, 트레이더가 풋옵션을 사고 콜옵션을 파는)은 만기 기준 6월과 9월물 전반에 걸쳐 하방 위험에 대비한 수요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하락 가능성에 대비해 포지션을 방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단 하나의 뉴스 혹은 정책 변화, 돌발 이벤트가 변동성을 다시 불러올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특정 고래, $504만 ETH 바이낸스 입금

디파이에 1억 달러 이상 자산을 보유한 고래가 24시간 내 2,000 ETH(504만 달러)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고 더데이터너드가 전했다. 해당 고래는 △컴파운드(COMP) 5,675만 달러 △펜들(PENDLE) 1,826만 달러 △아베(AAVE) 1,093만 달러 △스파크(SPC)·모포(MORPHO)·LDO 1,000만 달러를 분산 보유하고 있다.

ETH 전략 비축 물량 $30억 돌파

ETH를 전략 비축하는 기업은 38곳이며 이들이 보유한 ETH 총 가치가 30억달러를 돌파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리스크 다오, 1억 LSK 소각 논의

리스크(LSK) 다오가 DAO 트레저리에 보관된 1억 LSK를 소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리스크 다오는 “LSK 토큰을 ERC-20 토큰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다오 트레저리에서 1.45억 LSK가 신규 발행됐다. 이중 1억개를 소각할지, 아니면 기존 베스팅 일정에 따라 트레저리에 계속 보관할지 투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BOA 입출금 중단

빗썸이 보아(BOA)의 컨트랙트 변경 지원에 따라 6월 23일 11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태국 SEC, 암호화폐 상장 규정 개정 추진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지 거래소의 암호화폐 상장 기준을 개정하기 위해 공개 의견 수렴에 돌입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번 개정안에는 거래소가 자체 발행하거나 계열사가 발행한 유틸리티 토큰을 상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또 상장 토큰과 관련된 인물들의 실명을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조항도 검토 중이다.

300만 명 유입·40만 노드…파이 네트워크, 생태계 변화로 반등 시도

▲ 파이 네트워크(PI)/챗gpt 생성 이미지      파이 네트워크(Pi Network)가 오픈 네트워크 출범 이후 100일간의 주요 성과를 공개하며 커뮤니티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부진했던 파이 코인(Pi Coin) 가격도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6월 2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파이 네트워크 핵심 개발팀은 지난 2월 오픈 네트워크 출범 이후 100일 동안 300만 명 이상의 신규 이용자가 메인넷으로 이주했다고 밝혔다. 현재 네트워크는 1,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40만 개 이상의 활성 노드를 운영 중이다. 파이 생태계는 이 기간 동안 여러 방면에서 확장됐다. 신규 게임 ‘프루티파이(FruityPi)’, 도메인 거래 기능인 ‘파이 도메인(Pi Domains)’, 개발자 전용 광고 네트워크인 ‘파이 애드 네트워크’ 등이 출시됐고, 생태계 앱 등록 절차도 한층 간소화됐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직접 활용 가능한 메인넷 앱들도 확대됐다. 커뮤니티 행사도 이어졌다. 3월 14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된 ‘파이페스트(PiFest) 2025’에는 12만 5,000명 이상의 판매자가 등록해 상거래에서 파이 코인의 실사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같은 날 개시된 ‘.pi 도메인 경매’는 현재까지 5만 7,000명의 고유 입찰자가 12만 3,000건 이상의 입찰을 진행했으며, 총 입찰 규모는 300만 Pi를 넘어섰다. 생태계 확장 지원을 위한 1억 달러 규모의 벤처 기금 ‘파이 네트워크 벤처스(Pi Network Ventures)’도 5월에 출범했다. 특히 이 기금은 게임 분야를 핵심 투자 영역으로 삼고 있으며, 가상 재화와 소셜 인터랙션을 통해 파이의 실사용성과 개발자 유입을 촉진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메이저 거래소 미상장, KYC 문제, 메인넷 기반 탈중앙화 앱(DApp) 부족 등 주요 이슈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파이 코인 가격은 0.53달러로, 하루 전보다 0.58% 상승했지만 지난 한 달간 30.4% 하락하며 시장 평균을 크게 밑돌고 있다. 검색 트렌드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커뮤니티는 6월 28일 예정된 ‘파이투데이(Pi2Day)’에서 반등의 전환점을 기대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