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링크, 4일간 $1651만 ETH 매수
ETH를 전략 비축하겠다고 발표한 나스닥 상장 온라인 기술업체 샤프링크 게이밍이 지난 4일 동안 갤럭시디지털을 통해 6744 ETH(1651만 달러)를 매수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현재 샤프링크는 18.8만 ETH(4억 5690만 달러)를 보유 중이며, 3750만 달러의 미실현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디나리, 美 SEC와 ‘암호화폐 규제 문제 접근방식’ 논의
블록체인 증권 투자 플랫폼 디나리(Dinari)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와 암호화폐 규제 문제 관련 접근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고 공식 자료를 통해 전했다.
美 크립토 차르 "지니어스법 상원 통과,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승리"
미국 백악관 가상자산 및 인공지능(AI) 정책 책임자(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가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지니어스(GENIUS)의 상원 통과는 암호화폐 커뮤니티와 트럼프 정책의 큰 승리”라고 말했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라이선스 취득, 100% 준비금 확보, 시총 $500억 이상 발행자 연 1회 감사 의무, 해외 발행자에 대한 규제 등을 부여하는 법안으로, 현재 하원 표결 절차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남겨두고 있다.
채굴기 제조업체 AGM그룹, 나스닥 상장 폐지 모면
나스닥 상장사이자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업체인 AGM그룹이 나스닥 상장 유지 조건을 충족했다고 글로브뉴스와이어가 전했다. 나스닥은 이 같은 내용의 서신을 AGM그룹 측에 전달했고, 이에 따라 AGM그룹은 상장 폐지를 피할 수 있게 됐다. 앞서 나스닥은 AGM그룹 주식의 종가가 10거래일 연속 0.10달러 미만을 기록해 나스닥의 ‘저가 종목 규정’을 위반했다며 상장폐지 사전 통보를 한 바 있다.
비트코인 대신 서클? 왜 시장은 ‘스테이블코인 주식’에 열광하나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 가격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스테이블코인 주가’가 연일 폭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동부 시간 이날 오후 5시 12분(서부 오후 2시 12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0.81% 떨어진 10만3천617달러에 거래됐다. 이날 가격은 10만2천400달러대까지 떨어지는 등 지난달 21일 사상 최고가 11만2천달러를 기록한 이후 지지부진한 모양새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로 위험 자산 기피 심리가 강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늦어지면서 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 가격은 3.38% 하락한 2천432달러, 엑스알피(리플)는 1.42% 떨어진 2.14달러를 나타내는 등 주요 가상화폐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스테이블코인 주가’는 연일 폭등하고 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가상화폐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인 서클(Circle) 주가는 240.2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보다 20.39% 급등했다. 주가는 지난 4일 첫 상장 이후 17일 만에 무려 약 8배로 폭등했다. 서클의 공모가는 31달러였다. 주가는 상장 첫날 168.4% 폭등한 데 이어 이튿날에는 100달러를 돌파했고, 이제 200달러도 훌쩍 넘어섰다. 시가총액도 582억 달러(79조9천억원)로 불어났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화폐를 말한다. 주로 미 달러화나 유로화 등에 교환가치가 고정되게 설계된다. 빠른 전송 속도 및 효율성과 함께 미 달러화의 지배력을 유지하고 미 국채 수요를 유지하는 데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그 가치를 지탱하기 위해 담보를 두는데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미 국채를 담보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 17일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담보 요건 등을 강화한 일명 지니어스 법안이 미 상원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확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다. 서클이 발행하는 USDC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스테이블코인으로, 23%의 시장 점유율로 테더(USDT)의 67%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애니모카브랜드, 크로스 디 에이지스와 파트너십…CTA 토큰 매입
NFT 및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블록체인 기반 트랜스미디어 생태계 크로스 디 에이지스(Cross the Age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헀다. 향후 애니모카브랜드는 멀티플레이어 액션 RPG 어라이즈(Arise) 공식 출시를 지원하고 오픈마켓에서 CTA 토큰을 매수할 예정이다. CTA 토큰은 크로스 디 에이지스의 유틸리티 토큰이다.
이더리움, 3분기 비트코인 앞설 수밖에 없는 이유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에 따르면, 이더리움(Ethereum, ETH)이 2분기 동안 약 40%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8.81% 오른 비트코인(BTC)을 앞질렀고, 이 상승세가 3분기에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ETH/BTC 비율과 기술적 구조, 고래 및 기관 자금 유입이 모두 이더리움에 유리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2분기 초, ETH는 1,441달러까지 하락하며 멀티이어 저점을 기록했지만, 이후 반등에 성공해 6월 11일 2,878달러까지 급등했다. 이더리움의 시장 점유율도 4월 22일 기준 6.95%로 저점을 찍은 뒤 다시 10% 근처까지 회복되며, 구조적 반등세를 시사했다. 특히 ETH/BTC 비율은 5년 만에 최저치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약 25% 반등하며 기술적 전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현재 해당 비율은 완만한 고점 상승과 저점 높이기의 패턴을 보이며, 매수세가 점차 빠르게 유입되는 구조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ETH의 BTC 대비 강세 전환 가능성을 암시한다. 기관 자금 유입도 확연하다. 블랙록(BlackRock)은 6월에만 7억5,000만 달러 규모의 ETH를 매입했으며, 단 한 번의 매도 없이 보유 중이다. 이 외에도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한 고래 주소는 1,000만 USDT를 빌려 2,510달러에 3,983 ETH를 매수했다. 동시에 1,000~10,000 ETH를 보유한 지갑 수가 2년 만에 최고치인 4,970개에 도달했다. 이 같은 고래와 기관의 자금 이동은 단기 매매가 아닌 전략적 재배분의 결과로 보인다. 특히 ETH의 기술적 회복, ETH/BTC 차트 기반 상승 흐름, 유동성 증가 신호 등은 ETH가 3분기에도 비트코인을 앞설 수 있는 구조적 토대를 만들고 있다. 장기 보유자들이 기다려온 반등의 정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관측 속에서, ETH는 이제 단기 기술 반등을 넘어선 펀더멘털 기반 회복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BTC 선물 프리미엄 3개월래 최저
BTC 선물 프리미엄이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매체는 “BTC 2개월 선물 연간 프리미엄 지표는 중립적인 조건에서는 보통 5~15% 수준을 유지한다. 반면 지난 19일(현지시간), 해당 지표는 4% 아래로 떨어지며 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BTC가 24시간 동안 10% 하락하며 74,440 달러를 기록했던 지난 4월 초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어 “한편 BTC 옵션 스큐는 중립에서 약세의 경계선인 5%에 위치해 있다. 이는 BTC가 105,500 달러에서 110,500 달러로 급등했던 지난 9일(-5%) 보인 강세 심리와 대조를 이룬다. 이는 트레이더들이 BTC의 가격 움직임에 대해 실망감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美 텍사스 주지사, ‘BTC 준비금 보호’ 법안에 서명
미국 텍사스 주지사가 BTC 준비금 폐지를 방지하는 HB4488에 서명했다고 크립토브리핑이 전했다. 해당 법안은 BTC 준비금이 기타 일반 재원으로 흡수되거나 자동 페지되지 않도록 영구 기금으로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주지사는 주 정부가 BTC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트코인 전략 비축 법안(SB21)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9….전일比 3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3포인트 하락한 19를 기록 중이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