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 1.61달러에서 42달러로…애널리스트 1,964% 급등 시나리오 제기

▲ 엑스알피(XRP)  엑스알피(XRP)가 과거 강세장의 전환점이었던 ‘화이트 서클’ 구간을 다시 테스트하자 최대 1,964% 상승 가능성이 제기됐다.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이그랙 크립토(EGRAG CRYPTO)는 최근 차트를 통해 XRP가 과거 두 차례 급등 전 공통적으로 출현한 ‘화이트 서클’ 영역을 다시 방문했다고 진단했다. 이 구간은 21주 지수이동평균선(EMA)을 지지선으로 삼은 후 급등세가 이어졌던 지점으로, 현재 XRP는 이 흐름을 재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2017년에는 XRP가 약 1년간 21 EMA 돌파를 시도하다가 2017년 3월 돌파에 성공했고, 이후 두 달 만에 7,000% 이상 급등해 0.3988달러까지 올랐다. 이후 6개월 조정 기간을 거쳐 0.17달러에서 다시 3.55달러까지 1,900% 이상 상승한 두 번째 랠리가 발생했다. 2020년에도 XRP는 21 EMA 돌파 후 0.8294달러까지 상승했지만,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으로 상승세가 일시 중단됐다. 그러나 이후 21 EMA를 재차 지지선으로 활용하며 회복에 성공했고, 2021년 4월에는 1.98달러까지 약 500% 상승했다. 이번 사이클에서는 XRP가 2024년 11월 21 EMA 돌파 후 2025년 1월에 3.4달러까지 상승했고, 이후 조정 구간을 거쳐 4월에 1.61달러까지 하락하며 다시 21 EMA를 테스트했다. EGRAG는 이 지점이 다시금 ‘화이트 서클’ 역할을 한다며 세 가지 상승 목표를 제시했다. 첫 번째 목표는 2.034달러에서 11.5달러까지 465% 상승, 두 번째는 42달러까지 1,964% 상승, 세 번째는 이 둘의 평균치인 27달러로, 1,225% 상승이 예상된다. 그는 이 평균값인 27달러를 지속적으로 XRP의 핵심 목표가로 주장해 왔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반감기·ETF·기업 매입…비트코인 2035년엔 어디까지?

▲ 비트코인(BTC)     © 6월 21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더모틀리풀에 따르면, 현재 약 10만3,000달러 수준인 비트코인(Bitcoin, BTC)이 향후 10년간 100배 상승해 1BTC = 1,000,000달러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2015년 1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현재 430만 달러에 이를 만큼 폭발적인 성과를 기록한 만큼, 또 한 번의 기회를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치적으로는 연평균 복리수익률(CAGR) 약 84%가 유지돼야 10만 달러가 100만 달러로 불어날 수 있다. 물론 과거의 성장률이 재현되긴 어렵지만, 2024년 ETF 승인 이후 기관 자금 유입, 2028년과 2032년 예정된 비트코인 반감기(Halving), 공급 축소 등이 가격 상승을 뒷받침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비트코인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 하에 ETF에 편입되며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 세계 자금이 비트코인에 접근 가능한 환경이 갖춰진 셈이다. 특히 61개 비암호화폐 상장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하면서 유통량 축소를 유도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보다 현실적인 수익률을 10배 수준으로 보고 있다. 지난 4년간 비트코인의 CAGR은 27% 수준이었고, 이 추세가 지속될 경우 1만 달러 투자는 2035년에 약 10만9,000달러로 불어날 수 있다. 위험요소도 분명하다. 규제 리스크, 양자컴퓨터에 의한 보안 위협, 기업 회계상 평가손 발생 시 강제 매도 위험 등이 존재한다. ETF 도입이 제도화의 신호일 수 있지만, 동시에 세금이나 보유 제한 같은 역풍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비트코인에 대한 장기 투자는 인내와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다. 무리한 투자 대신 분할 매수(DCA), 리스크 예산 내 자금 배분 등을 통해 시장의 급등락에 흔들리지 않는 전략이 필요하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2040년 XRP가 1,474달러? 장기 투자자들의 은퇴 로드맵 나왔다

▲ 엑스알피(XRP)  엑스알피(XRP)만으로 조기 은퇴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며, 일부 투자자들은 2040년까지 백만장자 은퇴 플랜이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XRP 보유를 통한 은퇴 시나리오가 커뮤니티 내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미국 내 금융기관들이 제시하는 은퇴 자금 기준은 100만 달러에서 180만 달러 수준이며, 일부 연구는 평균 126만 달러를 제시한다. 반면, 생활비가 낮은 국가에서는 훨씬 적은 금액으로도 충분한 은퇴가 가능하다는 점도 언급됐다. 이 가운데 XRP 투자로 은퇴 자금을 마련하려면 보유 수량과 향후 가격 상승폭이 관건이다. 예를 들어 10만 XRP를 보유하고 XRP가 10달러에 도달할 경우 자산 가치는 100만 달러가 된다. 하지만 현재 시세 기준으로 10만 XRP는 20만 달러가 넘는 투자금이 필요해 일반 투자자에겐 부담이 크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된 시나리오는 1만 XRP 보유 전략이다. 현재 시세로 약 2만 1,600달러 수준의 초기 투자가 필요하며, XRP가 100달러에 도달할 경우 자산은 100만 달러가 된다. 암호화폐 거래소 챙겔리(Changelly)는 XRP가 2040년 1월까지 최소 170달러, 12월에는 최대 1,474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챙겔리의 예측이 현실화될 경우, 1만 XRP는 2040년 말 기준 1,474만 달러가 된다. 이는 현재 투자금 2만 1,600달러 대비 약 68배 수익에 해당하며, XRP 장기 보유 전략의 잠재력을 강조하는 사례로 부각되고 있다. 더 나아가 1,000 XRP만 보유하더라도 XRP가 1,474달러에 도달하면 자산은 147만 4,000달러가 된다. 이 경우 필요한 초기 투자금은 약 2,160달러에 불과해, 소액 투자자에게도 ‘은퇴 자산’ 구축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시나리오로 주목받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리플 변호사, 美정부 XRP 압류설에 일침

▲ XRP(엑스알피, 리플)     ©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리플의 XRP 에스크로 물량을 국가 금융 준비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루머가 퍼지자, 리플 측 변호사 빌 모건(Bill Morgan)이 이를 정면으로 부인하고 나섰다. 최근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연방준비제도(Fed)가 XRP를 국고에 편입하거나 에스크로를 압류할 수 있다는 주장이 확산됐다. 일부 인플루언서는 미국 정부가 전략적 암호화폐 준비금 구축의 일환으로 리플의 에스크로를 활용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논란을 키웠다. 이에 대해 모건 변호사는 “그럴 일은 없다(No, it won’t)”는 짧고 단호한 답변을 통해 관련 주장을 일축했다. 그는 어떤 정부 계획이나 공식 논의도 존재하지 않는다며, 사실 무근임을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XRP 10억 개가 최근 세 차례에 걸쳐 에스크로에서 해제됐다는 소식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자극하고 있다. 각각 5억, 3억, 2억 XRP가 해제됐으며, 시장가 기준으로 총 22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 또한, 연준이 실시간 결제 시스템 ‘페드나우(FedNow)’를 통해 XRP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일부 사용자에 의해 제기됐지만, 이 역시 공식 확인된 바 없다. 다만, 페드나우와 제휴한 볼란테(Volante Technologies)가 리플의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 도입 계획을 밝히며, 여기에 XRP, 솔라나(SOL), 에이다(ADA) 등의 알트코인도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하지만 XRP의 규제 명확성 확보와 관련 소송의 마무리 없이는 실제 편입 여부를 단정하기는 이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시바이누로 100만 달러 수익…전문가들 "2034년 50배 상승할 것"

▲ 시바이누(SHIB)/챗gpt 생성 이미지    시바이누(Shiba Inu, SHIB)가 10배에서 최대 50배 상승할 경우 수익 100만 달러를 노릴 수 있는 보유 수량이 공개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시바이누는 최근 시장 전반의 조정에 따라 7일간 6%, 연초 대비 46% 하락한 상황이지만, 1개월 이상 보유한 투자자들이 대량으로 매집 중인 정황이 포착됐다. 이른바 ‘크루저(Cruiser)’로 분류되는 보유자 그룹은 6월 들어 총 2,957억 SHIB를 추가로 축적해 현재 1,991조 3,000억 SHIB(22억 6,400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 시장 분석가들은 시바이누의 가격이 현재 지지선인 0.00001133달러~0.00001018달러 구간에서 반등할 경우 각각 0.00002174달러와 0.00002418달러까지 최대 100%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특히 일부 분석가는 보다 장기적이고 공격적인 시나리오로 10배, 50배 상승을 상정하며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현재 가격(0.00001137달러) 기준으로 10배 상승 시 시바이누는 0.0001137달러에 도달하며, 50배 상승 시에는 사상 최고치인 0.0005685달러를 기록하게 된다. 과거 분석에서 도나(Dona)는 시바이누가 이번 사이클에서 0.0001137달러~0.0001140달러까지 도달할 것이라 주장한 바 있다. 만약 시바이누가 10배 상승할 경우 100만 달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 87억 9,507만 4,758 SHIB가 필요하다. 이는 현재 시세로 약 10만 달러에 해당한다. 50배 상승 시에는 17억 5,901만 4,951 SHIB 보유로 100만 달러 달성이 가능하며, 현재 기준 약 2만 달러 투자로 이 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장기 가격 전망에 대해 체인질리(Changelly)는 시바이누가 2030년 7월까지 평균 0.0001137달러, 2034년 9월까지 0.0005685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고, 텔레가온(Telegaon)은 2027년 평균 0.000153달러, 2030년 최소 0.000593달러를 예측했다. 다만 이는 추정일 뿐, 실제 도달 시점은 유동적이라는 점도 강조됐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트럼프發 비트코인 바람…나카모토 홀딩스, 72시간 만에 5,150만 달러 유치

▲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의 암호화폐 자문역 데이비드 베일리(David Bailey)가 설립한 비트코인(Bitcoin, BTC) 보유 기업 나카모토 홀딩스(Nakamoto Holdings)가 단 72시간 만에 5,15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하며 비트코인 매입 전략에 강한 투자 수요가 형성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번 자금 조달은 퍼블릭 기업 지분 사모 투자(PIPE)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나스닥에 상장된 의료 서비스 기업 카인들리MD(KindlyMD)와의 합병을 앞두고 이뤄졌다. 신주 발행가는 5.0달러로 책정됐으며, 카인들리MD는 이를 통해 총 5억 6,300만 달러의 누적 자금을 확보했다. 전환사채까지 포함하면 총 조달 금액은 7억 6,300만 달러에 달한다. 베일리는 “나카모토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매우 강력하다”며 “비트코인을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 자본 유치 전략을 지속 실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나카모토 홀딩스는 올해 초 설립돼 비트코인을 준비 자산으로 삼는 트레저리 구축 전략을 본격화한 상태다. 이번 자금은 비트코인 매입 외에도 운영 자금과 일반적인 기업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며, PIPE 거래는 카인들리MD와의 합병 완료 시점에 맞춰 마무리될 계획이다. 양사는 5월 12일 합병 계획을 공식 발표했으며, 오는 3분기 내로 합병을 최종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다. 합병 이후 새로 탄생할 기업은 자산 조달 수단으로 주식, 부채, 기타 금융상품을 적극 활용해 비트코인 기반 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트레저리 역시 추가 비트코인 축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비트코인 재무 전략을 채택하는 기업은 최근에도 늘고 있다. BitcoinTreasuries.NET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최소 27개 기업이 새롭게 비트코인을 재무제표에 추가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전략적 판단보다는 생존을 위한 선택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스탠다드차타드는 비트코인 가격이 9만 달러 이하로 하락할 경우 관련 기업 절반이 청산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코인니스 뉴스 제공 시간 안내

코인니스 실시간 암호화폐 투자 정보는 월요일 아침 7시부터 일요일 0시까지 매일 24시간 제공됩니다. 일요일 0시부터 월요일 아침 7시 사이에는 중대 이슈가 발생할 경우에 한해 투자 정보가 제공됩니다.

바이낸스 알파, SAHARA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사하라AI(SAHARA)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 대상 토큰은 초기 프로젝트 중 커뮤니티, 시장 트렌드 등을 반영해 선정된다. 추후 상장이 100% 보장되는 건 아니다.

하이퍼리퀴드 BTC 고래, $550만 이상 손실 중

하이퍼리퀴드 고래 아귈러트레이즈(AguilaTrades)가 3.65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20배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550만 달러에 육박하는 미실현 손실을 기록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입가는 105,084 달러, 청산가는 100,700 달러다. 앞서 그는 한때 345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으나 중동 위기 영향으로 1247만 달러의 손실을 냈다.

XRP·솔라나·라이트코인 ETF 출시 눈앞?…블룸버그 “올해 승인 확률 95%”

▲ 라이트코인(LTC), 솔라나(SOL), 엑스알피(XRP)/챗gpt 생성 이미지라이트코인(Litecoin, LTC), 엑스알피(XRP), 솔라나(Solana, SOL)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올해 안에 승인될 가능성이 95%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6월 2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룸버그 ETF 분석가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와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는 이 세 종목의 ETF가 2025년 중 승인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SNS 플랫폼 X를 통해 해당 자산들의 승인 확률을 95%로 평가했다. 이 외에도 도지코인(Dogecoin, DOGE), 카르다노(Cardano, ADA), 폴카닷(Polkadot, DOT), 헤데라(Hedera, HBAR), 아발란체(Avalanche, AVAX) ETF 승인 확률도 90%로 매우 높게 예측됐다. 반면, 수이(SUI) ETF 승인 확률은 비교적 낮은 60%로 점쳤다. 또, 트론(Tron, TRX)은 2025년 중 승인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세이파트는 이더리움(Ethereum, ETH) 스테이킹 기반 ETF에 대해서도 “2025년 중 승인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하며, 이더리움 관련 상품 확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카나리 캐피털(Canary Capital), 퍼지 펭귄(Pudgy Penguins), 트럼프(Official Trump), 멜라니아(Melania), 봉크(Bonk) 등 다양한 신규 ETF 신청이 잇따르고 있으며, 일부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기반 혼합 포트폴리오 형태로 설계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4년 1월 사상 최초로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해 수십억 달러의 유입을 이끌었으며, 이어 7월에는 이더리움 현물 ETF도 거래 승인을 받았다. 이러한 흐름은 주요 알트코인의 ETF 확대 가능성을 더욱 현실화시키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