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숏’ 아브락사스 캐피털, 약 200억원 손실 중
아브락사스 캐피털 추정 주소가 지난 24시간 동안 보유 중인 BTC 숏 포지션에서 1450만 달러 미실현 손실을 기록했다고 아캄이 전했다. 해당 주소는 현재 4.5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숏 포지션을 보유 중이다.
中 관영언론 "이란-이스라엘, 공식 휴전"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공식 발표했다고 중국 관영언론 CCTV가 전했다. 그러나 직후 로이터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세 번째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머니투데이는 “준비한 건 마저 쏘는 휴전”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로이터 "이란, 이스라엘에 네 번째 미사일 발사"
이란이 이스라엘에 네 번째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스라엘 군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란과 이스라엘이 휴전을 공식 발표했다고 중국 관영언론 CCTV가 보도했으나 직후 이란이 이스라엘에 세 번째 미사일을 발사한 바 있다.
국정위 "은행권 디지털자산 규제 완화 제안, 구체적 검토 단계 아냐"
국정기획위원회가 디지털자산·비금융 관련 사업에 진출하도록 규제를 풀어달라는 은행권 제안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고 연합인포맥스가 전했다. 국정기획위원회 조승래 대변인은 “아직은 제목을 분류하고 공약과 소관을 정하는 단계로, 어떤 제안을 했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으로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스테이블 코인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셀레스티아 "6년 이상 운영 가능한 자금 보유"
우블록체인은 “셀레스티아(TIA) 창립자는 팀이 6년 이상 운영을 지속할 수 있는 1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셀레스티아 창립자인 무스타파는 OTC(장외거래)를 통해 2500만 달러 이상의 TIA를 매도했으며 현재 두바이로 거처를 옮긴 상태”라고 전했다.
빗썸, HOME·NEWT 상장
빗썸은 6월 24일 18시 디파이 앱(HOME)을, 같은날 23시 뉴턴 프로토콜(NEWT)을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BTC 청산 규모: $1억 5470만, 청산 비율: 숏 80.46%ETH 청산 규모: $1억 5140만, 청산 비율: 숏 73.93%SOL 청산 규모: $2844만, 청산 비율: 숏 70.8%
빗썸, POL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폴리곤 에코시스템 토큰(POL)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으로 7월 1일 10시부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비자 “스테이블코인, 3가지 한계점 극복해야 차세대 결제 인프라로 확장 가능”
잭 포레스텔(Jack Forestell) 비자 글로벌 상품 및 전략 총괄 대표가 “스테이블코인이 차세대 결제 인프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수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첫째는 초고속, 초대형 거래가 가능해야 한다. 이를 보장하면서 확장성을 갖춘 유연하고, 개방적인 기술이 적용돼야 한다. 물론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 따라 이 문제는 해결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는 거래 수단으로서 가치와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보장해야 한다. 제도권 내에서 준비금으로 뒷받침된다는 점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는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인터페이스를 개발해야 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거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마지막 조건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스테이블코인은 결코 주류로 자리잡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IXO 2025-패널 토론] 암호화폐 투자, 장기적 관점이 중요
▲ IXO 2025서울 섬유센터에서 웹3 및 블록체인 비즈니스 컨퍼런스인 IXO 2025 현장에서 강승구 업루트컴퍼니 부대표와 표상록 블록엑스 CEO, 백훈종 스매시파이 CEO가 ‘스마트머니 따라잡기: 기관 전략의 진실과 오해’를 주제로 패널 토론을 하고 있다. 이번 토론에서는 비트코인 투자 및 시장 변동성 대응 및 가격 전망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화가 오갔다. 먼저, 비트코인 가격 전망과 관련, 강 부대표는 “가격인 시장이 정하는 것”이라며, “20만 달러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훈종 CEO는 예측이 적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50만 달러 정도는 가능할 수 있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전망의 근거로 인간의 심리와 시장 사이클이 반복된다는 점을 언급했다. 다만, 연내 50만 달러 돌파 가능성을 두고 “어려울 것”이라며, “50만 달러를 돌파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표상록 CEO는 거시 경제적 관점, 반감기 사이클 등을 근거로 3~5배 상승 가능성을 이야기했다. 투자 전략과 관련, 백훈종 CEO는 “원화나 달러 기반이 아닌 비트코인을 기준으로 생각하라”라며, “비트코인 투자는 장기적으로 보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알트코인 다수는 문제가 없고 솔루션만 있다며, 이를 가격 폭등 가능성은 있으나 무너진 후 회복하지 못하는 이유로 지목했다. 표상록 CEO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요, 공급의 원칙을 보아야 한다”며, 수요와 공급이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정부, 기업의 자산화 추진 추세를 고려하면, 비트코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공급량이 제한되어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전했다. 기본적으로 비트코인은 중장기적 관점으로, 알트코인은 주류 위주로 단기 트레이딩 위주로 투자 전략을 짜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강 부대표는 이번 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알트코인이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견해를 밝히며, 강세장이 온다면 일부 알트코인만 수혜를 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와 관련, “강세장 혹은 약세장을 정확히 예측하여 투자를 시작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보고 호들하라”라고 덧붙였다. 토론 말미에 표상록 CEO는 무지한 상태에서의 투자, 성급한 투자를 주의한다면, 안전한 투자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강 부대표는 비트코인을 최대한 보유할 방법을 고민하고 실행하라고 말했다. 또, 백훈종 CEO는 “소액이라도 비트코인을 매수한 뒤 관심을 갖고 지켜보라”라며, “소액이라도 매수한 뒤 보유하는 것이 투자 성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IXO 2025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전문지 토큰포스트와 코인리더스가 공동 주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