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XO 2025] 돈깡 "비트코인, 트레이딩 자산 아니다"

▲ IXO 2025서 강연하는 돈깡 강민우 크리에이터암호화폐 유튜브 채널 ‘돈깡’의 강민우 크리에이터가 비트코인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크리에이터는 6월 24일 서울 섬유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웹3 로드쇼 ‘IXO 2025’ 무대에 올라 비트코인을 투기가 아닌 제도화 초입에 진입한 자산으로 규정하며 이같이 밝혔다. 강 크리에이터는 비트코인의 공급량이 제한돼 있어 희소성이 극대화될 것이라는 점과 미국 일부 주 정부가 비트코인을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정한 사실을 근거로 들며 제도권 수용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비트코인을 단기 수익을 노리는 거래 대상이 아니라며, “비트코인은 트레이딩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요한 포지션을 놓치면 공포 심리에 휘말려 알트코인에 집중하게 되고, 이는 수익률을 망치게 되는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강연에서 강 크리에이터는 올해 초부터 비트코인을 공격적으로 매집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펀딩비가 0.05에서 0.3 수준에 도달할 때 일부 비트코인을 매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직후 또는 약 한 달 이후를 기준으로 시장의 변화를 관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금리 인하 이후 자산 시장 전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비트코인의 강세장이 본격화될 시점을 금리 인하 후 1~3개월 사이로 예측했다. 한편, IXO 2025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전문지 토큰포스트와 코인리더스가 공동 주최한다.

하이퍼리퀴드 BTC 고래, $8735만 규모 BTC 롱포지션 오픈

하이퍼리퀴드 고래 아귈러트레이즈(AguilaTrades)가 방금 전 8735만 달러 규모 BTC 롱 포지션을 오픈했다. 진입가는 105,146 달러, 청산가는 100,312 달러다. 그는 한때 345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으나 중동 위기 영향으로 1247만 달러의 손실을 냈다.

암호화폐 투자자 포트폴리오서 BTC 비중 25% →31% 증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이후 기관들의 BTC 투자가 늘어나면서 암호화폐 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 BTC 비중이 커졌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바이비트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기준 암호화폐 투자자 포트폴리오에서 BTC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1%로, 지난해 11월 25.4%에서 늘었다. 보고서는 “이달 들어 BTC를 재무자산으로 채택하는 기업도 대거 늘었다. 현재 대차대조표에 BTC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244개로, 몇 주 전 124개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익명 고래, $368만 BMT 바이낸스 입금

3개월 전 BMT를 대량 매집했던 고래 주소가 30분 전 2634만 BMT(368만 달러)를 바이낸스로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해당 주소는 당시 평단가 0.1743달러에 BMT를 매수했다. 현재 BMT 가격은 0.1396달러로, 입금 물량을 전량 매도할 경우 약 91만 4,000달러의 손실이 확정된다.

신규 매수자 vs 손절 세력…지금이 비트코인 진입 타이밍?

▲ 비트코인(BTC)    비트코인(Bitcoin, BTC) 가격이 9만 7,000~9만 8,000달러 구간에 중요한 매물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해당 구간은 투자자들이 최근에 매수하거나 전송한 이력이 집중된 영역으로, 향후 비트코인 방향성을 결정지을 핵심 지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6월 2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뉴스BTC에 따르면,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Glassnode)는 ‘비용 기준 분포(Cost Basis Distribution, CBD)’ 지표를 기반으로 비트코인의 공급이 9만 7,000~9만 8,000달러 사이에 밀집돼 있다고 밝혔다. CBD는 투자자들이 마지막으로 비트코인을 구매하거나 전송한 가격대를 보여주며, 해당 가격에서 심리적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실제 비트코인은 최근 급락 후 해당 지점 부근까지 하락했다가 반등에 성공했으며, 이 구간이 향후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투자 심리가 낙관적일 경우, 과거 매입가 재진입은 추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글래스노드는 투자자 행동을 기준으로 다섯 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움직임을 추적한 데이터를 공개했다. 특히 최근 몇 주간 손절 매도자(Loss Sellers) 비중이 29% 증가했다. 동시에 하락장에서 매수에 나서는 신념 매수자(Conviction Buyers)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기적 약세 속에서도 일부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입하며 평균 매입가를 낮추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시장에는 신규 진입자(First Buyers)도 증가했다. 이는 신규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되며, 장기적인 상승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을 높인다. 반면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9만 7,000~9만 8,000달러 구간은 향후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를 가늠할 핵심 전환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렛저, 오프라인 복구 키 출시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제조업체 렛저(Ledger)가 인터넷 연결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개인키 복구 도구 ‘렛저 리버커리 키’를 출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도구는 클라우드 저장이나 신원 인증 없이 스마트 카드 탭 및 PIN 입력으로 개인 키를 복구할 수 있다.

빗썸, ATOM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코스모스(ATOM) 네트워크(메인넷) 업그레이드 지원에 따라 7월 2일 오후 6시 ATOM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전쟁 후에는 시장 상승세…비트코인, 지금은 장기 매수 기회

▲ 비트코인(BTC)    비트코인(Bitcoin, BTC)이 중동 지정학적 충돌 속 일시적 하락을 겪은 뒤 다시 강한 반등을 보여주며, 지금이 장기 투자자에게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역사적으로도 전쟁이나 테러와 같은 충격 이후 시장은 회복과 동시에 강세장을 이어온 전례가 뚜렷하다는 점에서 현재의 조정은 오히려 기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구독자 161만 명을 보유한 암호화폐 유튜브 채널 알트코인 데일리는(Altcoin Daily)는 6월 24일(현지시간) 업로드한 영상을 통해 이란의 미군 기지 미사일 공격 이후 비트코인이 주말 사이 5% 하락했지만, 곧바로 반등했다고 전했다. 영상은 “비트코인은 24시간 연중무휴 거래되기 때문에 지정학적 충격이 가장 먼저 반영되는 자산”이라면서도 “이번 하락은 장기적으로 보면 일상적인 조정”이라고 평가했다. 알트코인 데일리는 과거 미국 주요 전쟁 및 군사 충돌 직후 S&P500 지수의 흐름을 인용하며, “펄하버, 9.11 테러, 이라크 전쟁 등 대부분의 사건에서 주가는 단기 하락 후 수개월 이내 회복됐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역사적 평균 회복일수는 119일, 중간값은 단 17일에 불과했으며, 전쟁과 같은 이벤트는 오히려 추가적인 재정 지출과 유동성 공급을 통해 자산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왔다. 또한 글로벌 광의통화(M2) 지표가 현재 증가세에 있는 점도 주목된다. 알트코인 데일리는 “전 세계 M2가 상승할 경우 약 12주 후 비트코인에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유동성 흐름과 시장 반응을 고려하면 암호화폐 시장은 새로운 강세 전환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영상에서는 미 연준이 최근 ‘명성 리스크’ 관리 정책을 종료하고, 은행의 암호화폐 산업 참여 장벽을 낮춘 사실도 언급됐다. 이는 제도권 자금 유입이 더욱 본격화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 셈으로, 비트코인의 중장기 펀더멘털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알트코인 데일리는 “지금은 공포에 매도할 때가 아니라, 장기 투자자에겐 명확한 기회”라며, “역사는 반복되며, 현재의 불확실성은 강세장의 연료가 된다”고 덧붙였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암호화폐, 트럼프 휴전 선언 후 회복…시총 4조 7,000억 넘어설까?

▲ 비트코인, 암호화폐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와 대규모 공매도 청산이 맞물리면서 암호화폐 시장이 급등했다. 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6월 24일 4.4% 상승해 3조 2,600억 달러에 도달하면서 기술적 분석상 강력한 불 플래그 패턴까지 나타나며 추가 상승 기대감이 커졌다. 6월 24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시장 반등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가 이란-이스라엘 간 전면 휴전을 발표한 직후 본격화됐다. 트럼프는 이 소식을 자신의 소셜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직접 전하며 “12일간의 전쟁이 종료된다”고 밝혔다. 이후 비트코인(Bitcoin, BTC)은 10만 6,000달러까지 급등했고, 이더리움(Ethereum, ETH), 솔라나(Solana, SOL), 엑스알피(XRP)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7~8%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장 전반의 거래량도 상승했다. 24시간 거래량은 10% 증가한 1,500억 달러를 넘어서며 투자자들의 리스크 선호 심리가 회복됐음을 시사했다. 특히 비트코인은 지정학적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투자자 자금이 다시 유입되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이번 랠리의 또 다른 핵심 동력은 대규모 숏 포지션 청산이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청산된 포지션은 총 4억 7,100만 달러이며, 그중 3억 5,800만 달러가 공매도(숏) 청산이었다. 특히 비트코인 숏 포지션만 1억 2,100만 달러가 정리됐고, 바이낸스에서는 1,214만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USDT 포지션이 청산되며 단일 거래 기준 최대 청산을 기록했다. 이러한 숏 스퀴즈 효과는 5월 21일과 23일에도 나타난 바 있으며, 당시에도 4억 5,100만 달러 규모의 숏 청산이 시장 급등을 이끌었다. 이번에도 유사한 양상이 반복되며 기술적 반등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 전체 시가총액(TOTAL)은 일봉 기준 불 플래그 상단인 3조 2,800억 달러 돌파를 시도 중이며, 이를 넘으면 기술적 목표치는 최대 4조 7,600억 달러까지 열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상대강도지수(RSI)도 이틀 만에 35에서 50으로 급등하며 상승 탄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로보택시 출시한 테슬라 따라 이차전지株 줄줄이 상승(종합)

로보택시 출시한 테슬라 따라 이차전지株 줄줄이 상승(종합) 에코프로, 코스닥 시총 3위로 ‘쑥’…외국인 대거 순매수   국내 이차전지 기업들의 주가가 24일 ‘로보택시'(자율주행 무인택시)를 출시한 미국 테슬라 주가가 급등한 영향으로 덩달아 올랐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이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전장 대비 2.21% 오른 30만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4.08% 상승한 30만6천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POSCO홀딩스[005490](3.75%), LG화학[051910](4.20%), 삼성SDI[006400](4.43%) 등도 강세를 보였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에코프로[086520]가 14.12% 급등한 4만8천900원에 거래를 마치며 HLB[028300]와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를 제치고 코스닥 시총 3위로 올라섰다. 전날 5위를 기록하던 에코프로는 하루 사이 시총 순위가 2계단 뛰었다.  에코프로비엠[247540]도 6.05% 올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출시했다고 선언한 가운데 간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8% 넘게 급등했다.  테슬라가 전날 미국 텍사스주에서 로보택시 유료 서비스를 위한 시범 운행을 개시한 가운데 머스크는 엑스(X·옛 트위터)에 “성공적인 로보택시 출시를 이룬 테슬라 AI 소프트웨어·칩 설계팀을 축하한다. 10년간의 고된 노력의 결실”이라며 성공적인 출시를 자평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테슬라가 로보택시를 공식 출시한 가운데 외국인 수급이 대형주에 몰리며 이차전지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날 외국인은 LG에너지솔루션을 90억원 순매수했으며,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도 각각 190억원, 60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