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폭풍 예고…도지코인, 다음 급등·급락은 언제?

▲ 도지코인(DOGE)     ©코인리더스 도지코인(Dogecoin, DOGE)이 단 4시간 동안 3444%의 청산 불균형을 기록하며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롱 포지션 투자자들이 대거 청산되며, 밈코인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7월 2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유투데이에 따르면, 도지코인의 최근 4시간 청산 규모는 185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 중 대부분이 롱 포지션에서 발생했다. 반면 숏 포지션 청산 규모는 5만 2,750달러 수준에 그쳐, 롱 청산이 숏 대비 3,444%나 많았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청산 불균형은 도지코인 가격이 단기간에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무너뜨린 데 따른 결과다. 도지코인은 전일 0.167달러까지 상승하며 강세 심리를 자극했으나, 불과 몇 시간 만에 0.158달러로 약 4% 하락해 롱 포지션이 일제히 무너졌다. 시장조사업체 코잉글래스(Coinglass)는 이번 현상이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급격한 반전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강한 매수세에 기대어 포지션을 설정한 투자자들이 가격 하락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채 대규모 손실을 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롱 포지션 청산 사태가 도지코인에 대한 단기 신뢰에 타격을 입혔다고 평가한다. 특히 지난 몇 주간 지속된 상승 기대가 갑작스러운 하락에 직면하면서, 향후 추가 하락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도지코인은 0.158달러 선에서 거래 중이며, 새로운 한 달의 시작과 함께 더욱 거센 변동성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신중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스카이 "탈중앙화 조직 필두로 디파이 혁신에 무게"

디파이 프로토콜 스카이(SKY·구 메이커다오)가 탈중앙화 조직인 스타(Star)를 필두로 디파이 혁신에 힘을 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스카이는 “첫 번째 핵심 스타인 스파크는 암호화폐 대출, 차입, 저축을 위한 탈중앙화 허브로, 자체 토큰 SPK는 스카이 프로토콜에서 보상 토큰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는 스카이 토큰 보상이나 스카이 스테이킹을 통한 SPK 획득이 가능하다. 향후 스파크는 SPK 공급량의 65%를 커뮤니티에 할당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주 출시된 신규 스타 그로브는 기관급 신용 인프라를 제공하며 디파이와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로브는 토큰화 국채 펀드 야누스 헨더슨 애니모이를 통해 1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계획 중이며, 이를 통해 디파이 프로토콜이 온체인에서 담보부 대출 채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머스크-트럼프 갈등’ 심화에 테슬라 주가 5.3% 하락

‘머스크-트럼프 갈등’ 심화에 테슬라 주가 5.3% 하락 시총 1조달러 붕괴…엔비디아·메타도 각각 2%대 내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갈등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이자 테슬라 주가가 큰 폭으로 내렸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5.34% 내린 300.71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달 23일 이후 6거래일 연속 하락이다.  테슬라는 지난달 6일(295.14달러) 이후 약 한 달 만에 300달러선 붕괴 위협을 받게 됐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1조달러 밑으로 떨어져 9천686억달러 수준이 됐다.  전날 머스크는 친환경 지원 정책 폐지와 대규모 감세 등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의제를 포괄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대해 “정신 나간 지출법안이 통과되면 그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이 창당될 것”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새벽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머스크가 운영하는 기업들이 받는 정부 보조금을 줄여 연방 예산을 절감해야 한다고 언급했고,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는 정부효율부(DOGE)가 일론(머스크)을 맡도록 해야 할지도 모른다. 정부효율부는 일론을 잡아먹어야 할지 모르는 괴물”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언급은 머스크가 운영하는 기업과의 정부 계약 해지를 비롯해 그간 지급한 보조금 등의 타당성에 대한 조사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됐다.  머스크는 작년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선거 승리의 일등 공신으로 떠올랐고,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지휘했지만, 130일간의 특별공무원직을 마감한 뒤 트럼프 대통령의 역점 법안에 불만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머스크가 도발한 이 ‘전쟁’은 지난달 중순 머스크의 사과와 트럼프 대통령의 수용으로 일단락된 뒤 한동안 소강 상태을 보였으나, 머스크가 지난달 28일 상원 통과를 앞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을 다시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재점화됐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엔비디아와 메타 등 주요 빅테크 종목들도 다수 하락했다.  엔비디아가 2.97%, 메타가 2.56%, 브로드컴이 3.96% 각각 내렸다.  마이크로소프트(1.08%↓)와 알파벳(0.27%↓)도 소폭 하락했다.  반면 애플(1.29%↑)과 아마존(0.49%↑)은 상승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 일부 종목들에 대한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나는 합의를 할지 확신하지 못하겠다”며 일본산 수입품에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툰] "1비트코인 = 100만 달러? 패배자보단 바보가 낫다!"

[코툰] “1비트코인 = 100만 달러? 패배자보단 바보가 낫다!”베스트셀러 경제 서적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비트코인(BTC)을 추가 매수했다고 1일(현지시간) X를 통해 밝혔다. 그는 “오늘 또 BTC를 매수했다. 틀렸을 수도 있고 바보짓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인생에서 바보 취급을 받은 게 처음은 아니다. 나는 곧 1 BTC가 100만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패배자가 되는 것보다는 바보가 되는 게 낫다. 나는 인생에서 여러 번 실패자가 돼봤고, 그 경험에서 교훈을 얻었기 때문에 10만 달러 정도는 잃을 여유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스권에 갇힌 XRP, ETF 소식에 터질까

▲ 엑스알피(XRP)/챗gpt 생성 이미지     © 엑스알피(XRP, 리플)이 2달러~2.35달러 사이에서 좁은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ETF 승인 기대감이 다음 가격 돌파를 유도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기술적 지표상 하락 가능성도 동시에 존재해 양방향 변동성에 주의가 요구된다. 7월 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XRP는 현재 2.17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50일 단순이동평균(SMA)인 2.24달러를 일시적으로 돌파했지만 상단에서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된 모습이다. 주요 저항선은 2.35달러이며, 상승 모멘텀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ETF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상승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블룸버그 ETF 전문가인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와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는 XRP, 솔라나(SOL), 라이트코인(LTC) 현물 ETF가 2025년 중 승인될 가능성이 95%에 달한다고 평가했다.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XRP는 단기 저항선을 돌파하며 강세장을 이어갈 수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20일 지수이동평균(EMA)인 2.17달러가 단기 핵심 지지선이다. 가격이 이 수준에서 반등한다면 2.35달러 돌파 후 2.65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2.17달러선 이탈 시 2.06달러, 이어서 2달러 지지선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구간이 무너지면 하락 목표치는 1.61달러까지 확대된다. 4시간봉 차트에서는 역 헤드앤숄더 패턴이 등장했다. 넥라인 돌파 시 상승 목표치는 2.76달러로 제시된다. 그러나 현재는 2.35달러 부근에서 강한 저항에 직면해 있어, 50일 SMA에서의 반등 여부가 향후 방향성을 좌우할 관건이다. 시장에서는 ETF 기대감이 단기적 매수 심리를 자극할 수 있지만, 2달러 하단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추가 하락에 유의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온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내용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합니다.*

트럼프 "이스라엘, 60일 휴전에 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 대표단은 오늘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측과 긴 회의를 가졌다. 이스라엘은 60일 휴전을 최종 확정하기 위한 조건들에 동의했다. 이 기간 동안 우리는 전쟁을 끝내기 위한 모든 당사자들과 협력할 것이다. 중동의 평화를 위해 하마스가 이번 제안을 받아들이길 바란다”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 분산원장기술 결제 연구에 중앙은행 자금 활용 승인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위원회가 중앙은행 자금을 사용한 분산원장기술(DLT) 거래 결제 연구 활동을 승인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에 대해 ECB는 “이번 결정은 금융 시장 인프라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혁신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ECB는 지속적으로 DLT 기술을 활용한 결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고 전했다.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3분기 첫 거래일인 1일(현지시간),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 협상 상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간의 갈등,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 혼조로 마감했다.  전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숨 고르기에 들어간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대형 헬스케어 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0.17포인트(0.91%) 오른 44,494.94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S&P 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94 포인트(0.11%) 내린 6,198.0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6.84포인트(0.82%) 하락한 20,202.89에 각각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기술주에서 차익을 실현하고, 헬스케어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모습을 보였다. 암젠, 머크, 유나이티드헬스가 각각 3%가량 상승했으며, 존슨앤드존슨도 2% 가까이 오르며 다우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는 2분기 동안 기술주 중심의 상승 랠리와는 다른 흐름이다.  아메리프라이즈의 앤서니 사글림베네 수석 시장전략가는 “2분기 후반은 위험자산 선호(risk-on) 장세였고, AI와 기술처럼 구조적 성장 스토리를 가진 종목들이 주목받았다”며 “하지만 이제 그 트레이드는 어느 정도 소진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 여파로 5% 이상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에 “정부효율부(DOGE)가 일론 머스크 CEO가 이끄는 기업들이 받은 정부 보조금을 조사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의 대규모 감세·지출 법안을 “광기이자 파괴적”이라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으며, 양측의 갈등은 올해 초부터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법안은 이날 연방의회 상원에서 51대 50의 근소한 차이로 통과됐다. 법안은 소득세 및 법인세 감면 등 일몰 예정 조항의 연장을 포함하며, 팁 소득 및 초과근무수당 면세 등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공약도 담고 있다. 법안은 향후 하원에서 수정 여부를 두고 재논의될 예정이다.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이날 포르투갈에서 열린 유럽중앙은행(ECB) 주최 신트라 포럼에 참석해 “관세가 없었다면 기준금리를 이미 추가 인하했을 것”이라며 “향후 결정은 경제 지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7월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관세 영향으로 미국 인플레이션 전망이 전반적으로 크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고율 관세의 90일 유예 조치가 다음 주 만료될 예정인 만큼,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협상 전개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잭 힐 포트폴리오 운용 책임자는 “시장이 크게 기대하진 않지만,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5월 구인·이직 보고서(Jolts)에 따르면 5월 채용공고 건수는 전월 대비 증가하며 6개월래 최고 수준을 기록, 미국 고용 시장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다.  미국 제조업 경기는 4개월 연속 위축세를 이어갔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0으로 집계됐다. 높은 관세와 전반적인 경기 둔화로 인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시장 전망치(48.8)은 상회했다.  업종별로는 대부분이 상승했다. 소재가 2% 넘게 오르며 강한 상승을 보였고, 헬스케어가 1%, 에너지가 0.8%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기술과 통신서비스 부문은 1% 하락 마감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 대형 기술주는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테슬라 외에도 메타플랫폼스는 2%, 마이크로소프트는 1% 하락 마감했다.  종목별로는 당뇨 관리기기 관련 종목들이 미국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서비스센터(CMS)가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인슐린 펌프에 대한 보험 보상 축소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탠덤 다이어비츠 케어의 주가는 7%, 덱스컴과 인슐릿, 베타바이오닉스는 4% 하락한 채 장을 마쳤다.   한편 청정에너지 관련주는 이날 상원에서 통과된 법안에서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에 대한 과세 조항이 삭제된 데 따른 기대감에 동반 급등 마감했다. 선런의 주가는 10%, 솔라엣지 테크놀로지스는 7%, 넥스트라 에너지는 5%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10 포인트(0.60%) 오른 16.83을 기록했다.